
기타 금전문제
원고는 피고 B가 사용하는 피고 C 명의 계좌로 2017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총 1억 6천만 원을 이체했습니다. 피고 B와 C은 이 돈을 이자 월 2.3%, 변제기 2017년 10월 17일로 하는 차용금증서를 작성하여 원고에게 교부했습니다. 그러나 피고 B와 D은 이 차용금에 대한 사기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고 이는 확정되었습니다. 이후 피고 B와 C은 파산 및 면책 결정을 받았으나, 원고는 피고 B, D을 상대로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와 D이 원고를 기망하여 돈을 편취한 불법행위가 인정되므로, 파산 면책 결정에도 불구하고 해당 채무는 면책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법원은 피고 B와 D에게 1억 6천만 원 및 지연손해금을 공동하여 지급하라고 판결하고, 피고 C과 E에 대한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원고는 피고 B가 사용하는 계좌로 총 1억 6천만 원을 이체했으며, 피고 B와 C은 이 돈을 차용했다는 증서를 원고에게 교부했습니다. 그러나 이 돈은 실제로는 피고 B와 D의 사기 행위에 의해 편취된 것으로, 이들은 결국 사기죄로 유죄 확정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후 피고 B와 C은 파산 및 면책 결정을 받았지만, 원고는 자신이 편취당한 돈을 돌려받기 위해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하면서 이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 B와 D의 사기 행위로 인한 채무가 인정되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피고 B와 C이 파산 및 면책 결정을 받은 상황에서, 사기 행위로 인한 채무가 면책 대상에서 제외되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피고 C과 E이 사기 행위에 공모했거나 방조했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피고 B와 D에게 공동으로 원고에게 1억 6천만 원을 지급하고,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도 함께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지연손해금은 그중 8천만 원에 대해서는 2017년 8월 18일부터, 나머지 8천만 원에 대해서는 2017년 8월 24일부터 계산됩니다. 피고 B에 대해서는 2023년 12월 28일까지, 피고 D에 대해서는 2023년 12월 29일까지는 연 5%의 이율이 적용되며,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이율이 적용됩니다. 원고의 피고 C과 E에 대한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소송비용은 원고와 피고 B, D 사이의 부분은 피고 B, D이 부담하고, 원고와 피고 C, E 사이의 부분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사기로 돈을 편취한 피고 B와 D에 대해서는 유죄 확정 판결을 근거로 불법행위 책임을 인정하고, 파산 면책 절차를 거쳤더라도 사기 행위로 인한 채무는 면책되지 않는다는 법리를 적용하여 원고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반면 사기 공모 사실이 인정되지 않은 피고 C과 E에 대한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66조 단서 제3호: 이 조항은 파산 절차에서 채무자가 면책 결정을 받더라도 특정 채무에 대해서는 면책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채무자가 고의로 가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비면책채권으로 분류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 B는 원고를 기망하여 돈을 편취한 사기죄로 유죄 확정판결을 받았기 때문에, 법원은 원고의 부당이득반환채권(사기로 인한 취소 후의 반환채권) 역시 이 '고의로 가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에 해당한다고 보아 면책 결정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채무자의 사회적으로 비난받을 만한 행위로 인한 책임을 면제하는 것이 정의 관념에 반한다는 취지입니다.
민사재판과 형사사건의 확정판결: 민사재판에서 이와 관련된 다른 민사 또는 형사사건의 확정판결에서 인정된 사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력한 증거자료가 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 B와 D이 원고로부터 1억 6천만 원을 편취한 범죄사실로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사실은, 민사재판에서 피고들의 불법행위 사실을 인정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로 작용했습니다. 피고 B가 제출한 다른 증거들만으로는 형사재판의 사실판단을 뒤집기 어렵다고 보아, 법원은 형사 확정판결의 사실인정을 그대로 채용했습니다.
부당이득 반환 및 불법행위 손해배상: 사기 등 기망 행위로 인해 계약을 체결했다면, 피해자는 그 계약을 취소하고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하거나, 사기로 인한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원고는 이 사건 차용금 약정을 취소하고 피고 B, D에게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했고, 법원은 피고들의 사기 행위를 불법행위로 인정하여 원고에게 부당이득금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만약 타인에게 돈을 빌려주거나 투자했는데 사기 피해를 입었다고 의심된다면,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