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K 주식회사는 두 차례에 걸쳐 신주를 발행하려고 했으나 그때마다 법원으로부터 '신주 발행 금지' 가처분 결정을 받았습니다. 특히 두 번째 신주 발행 금지 결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채권자들 중 일부는 이 회사에 주금을 납입하고 신주를 발행받았습니다. 이후 회사는 임시주주총회를 열어 새로운 이사들을 선임하고, 이어서 이사회를 통해 기존 대표이사를 해임하고 새로운 대표이사를 선임했습니다. 이에 기존 이사이자 주주인 채권자들이 새로 선임된 이사 및 대표이사의 직무 집행 정지를 요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냈습니다. 채권자들은 법원의 금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발행된 신주는 유효하며, 이 신주의 의결권을 배제한 임시주주총회 결의가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이사회 소집 절차에도 하자가 있어 결의가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선행 가처분 결정을 위반하여 발행된 신주는 무효이므로, 그 신주의 의결권을 배제한 임시주주총회 결의는 유효하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대표이사가 이사회 소집을 거절했을 때 다른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하는 것은 적법하며, 소집 통지도 제대로 이루어졌으므로 이사회 결의에도 하자가 없다고 판단하여 채권자들의 직무집행정지 신청을 기각했습니다.
K 주식회사를 둘러싸고 경영권 분쟁이 심화되면서, 회사 경영진 측이 신주를 발행하여 우호 지분을 확보하려 했으나 주주들의 반대로 두 차례나 법원의 신주 발행 금지 가처분 결정을 받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주주들이 법원 결정에 반하여 신주를 인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대표이사를 해임하고 새로운 이사 및 대표이사를 선임하는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진행하면서 기존 주주 및 이사들이 강력히 반발하여 이사들의 직무 집행 정지를 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하게 된 상황입니다.
법원의 '신주 발행 금지' 가처분 명령을 위반하여 발행된 신주가 유효한지 여부와 이러한 무효인 신주의 의결권을 배제한 임시주주총회 결의가 유효한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또한 대표이사가 이사회 소집을 거절했을 때 다른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하는 것이 적법한 절차인지, 그리고 그 이사회 결의에 하자가 있는지 여부도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채권자들의 신청을 기각하고 소송 비용은 채권자들이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법원은 이 사건 회사가 법원의 신주 발행 금지 가처분 결정에도 불구하고 신주를 발행한 것은 효력이 없는 무효한 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이 무효인 신주에 대한 의결권을 임시주주총회에서 배제한 것은 적법하다고 보아 임시주주총회 결의는 유효하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대표이사가 이사회 소집을 거절하는 경우 다른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으며, 이사 N이 다른 이사에게 적법하게 소집 통지를 한 사실이 인정되므로 이사회 결의에도 하자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채무자들의 이사 및 대표이사 직무 집행 정지를 구할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채권자들의 신청을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의 가처분 결정은 매우 중요한 법적 효력을 가지므로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신주 발행 금지 가처분 결정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신주를 발행하면 그 신주 발행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무효인 신주는 주식으로서의 효력을 인정받지 못하며 의결권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주주총회나 이사회 소집 및 결의는 상법 등 관련 법규에서 정한 절차를 엄격히 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어 대표이사가 이사회 소집을 거절하면 다른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는 상법 규정을 정확히 알고 활용해야 합니다. 소집 통지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거나 의결권 있는 주식에 대한 의결권 행사를 부당하게 제한하면 해당 결의는 무효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