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류/처분/집행
이 사건은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원으로 가입했던 사람들이 조합 탈퇴 또는 자격 상실을 이유로 납입했던 분담금을 돌려달라고 조합에 청구한 사안입니다. 일부 원고(C, G, M)는 세대주 지위를 상실하여 조합원 자격이 자동으로 상실되었음을 주장하며 분담금 반환을 청구했고, 나머지 원고들은 조합 탈퇴 확약서 또는 환불 요청서를 제출하여 분담금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또한 원고들은 피고 조합의 허위·과장 광고 등으로 인한 불법행위 손해배상도 선택적으로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세대주 지위를 상실한 일부 원고들에게는 업무대행비를 공제한 분담금을 반환하라고 판결했으나, 나머지 원고들에게는 조합가입계약 및 총회 의결에 따른 환불 조건(신규 조합원 가입 또는 조합 사업수지 정상화)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다며 분담금 반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도 증거 부족으로 기각되었습니다.
원고들은 2016년경부터 2020년경까지 N지역주택조합 또는 그 추진위원회와 조합가입계약을 맺고 분담금을 납입했습니다. 이들 중 원고 C, G, M은 세대주 지위를 상실하여 조합원 자격이 자동 상실되었다고 주장하며 피고 조합에 납입금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나머지 원고들은 확약서나 환불 요청서를 제출하며 조합 탈퇴 후 납입금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피고 조합은 이사회 의결의 무효성, 원고들의 신의성실 원칙 위반, 환불 조건 및 이행기 미도래 등을 이유로 반환 의무가 없다고 다퉜습니다. 또한 원고들은 피고 조합이 허위·과장 광고를 통해 조합가입을 유도했다며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도 함께 청구했습니다.
지역주택조합 조합원 자격 상실의 요건과 효력, 조합 탈퇴 시 납입금 반환 범위 및 이행기 도래 여부, 조합 이사회 및 총회 의결의 효력, 약관의 불공정성 여부, 그리고 허위·과장 광고 등으로 인한 불법행위 손해배상 책임 인정 여부가 주요 쟁점입니다.
법원은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원 자격 상실을 둘러싼 분쟁에서 세대주 지위 상실을 통한 자격 상실은 유효하며 업무대행비를 공제한 분담금을 반환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임의 탈퇴의 경우, 조합 규약과 가입 계약서에 명시된 환불 조건(신규 조합원 모집 또는 사업수지 정상화)이 충족되지 않으면 이행기가 도래하지 않아 분담금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허위·과장 광고에 따른 불법행위 손해배상 청구는 증거 부족으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