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 노동
원고 A는 B시 임기제 공무원 임용시험에 최종 합격하여 임용되었으나, 감사원의 감사 결과 원고가 제출한 H연구원 경력증명서가 허위임이 밝혀졌습니다. 이에 피고 B시장은 원고에 대해 임용시험 합격결정 취소 및 5년간 공무원 시험 응시자격 정지 처분을 내렸습니다. 원고는 해당 처분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65조 제1항이 위헌·무효가 아니며, 원고가 제출한 경력증명서가 허위이고 이는 시험 결과에 부당한 영향을 미 미쳤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공고문 위법성 주장 및 신뢰보호 원칙 위반 주장 역시 받아들이지 않아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B시가 관광홍보 분야의 임기제 공무원을 채용하기 위해 2021년 임용시험을 공고했고, 원고 A는 학사학위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 분야 실무경력이 있다는 응시자격으로 시험에 지원했습니다. 원고는 초기 제출한 이력서의 경력 기간이 부족하다는 연락을 받고 H연구원의 경력증명서(근무기간: 2017. 9. 1. ~ 2018. 10. 31., 주 5일제, 주 25시간 근무)를 추가로 제출했습니다. 원고는 서류 및 면접시험을 거쳐 2021년 3월 최종 합격자로 공고되었고, 4월 5일 임기제 공무원으로 임용되었습니다.
그러나 2021년 11월 감사원의 B시 기관운영 종합감사 결과, 원고가 제출한 H연구원 경력증명서의 경력은 인정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감사원은 B시장에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65조 제1항에 따라 원고에 대한 조치를 요구했고, 부당하게 업무를 처리한 공무원들에 대한 징계도 촉구했습니다. 이에 B시장은 2022년 11월 15일 원고에 대해 임용시험 합격결정 취소 처분과 함께 5년간 공무원 시험 응시자격을 정지하는 처분을 내렸습니다. 원고는 이러한 처분이 위법하다며 처분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65조 제1항(임용시험 부정행위자에 대한 조치 규정)이 상위 법률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 법률유보 원칙이나 헌법상 과잉금지 원칙에 위배되어 위헌 또는 무효인지 여부입니다. 둘째, 원고 A가 제출한 H연구원 경력증명서가 허위인지 여부 및 허위인 경우 부정행위에 반드시 고의가 필요한지 여부, 그리고 해당 경력증명서 제출이 시험 결과에 부당한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임용 공고문 중 '분야별 자격요건'란이 응시자들의 예측 가능성을 침해하여 위법한지 여부입니다. 넷째, 피고 B시장이 원고를 최종 합격시키고 임용한 행위가 신뢰보호의 원칙에 따라 원고의 합격 취소를 제한해야 하는 공적인 견해표명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며 피고 B시장의 합격결정 취소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제출한 경력증명서가 허위임을 인정하고, 허위 경력증명서 제출이 지방공무원 임용령상의 부정행위에 해당하며, 그에 따른 합격결정 취소 및 응시자격 정지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결하여 원고의 청구를 최종 기각했습니다. 원고가 주장한 법률의 위헌성, 처분 사유 부존재, 공고문 위법성, 신뢰보호 원칙 위반 주장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 및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직면할 경우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