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D이 신호 위반으로 A의 차량을 들이받아 A와 동승자 B가 상해를 입은 사건에서, 피해자들이 D의 보험사인 C 주식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C 주식회사의 배상 책임을 인정하며, 원고 A에게 2,871,200원, 원고 B에게 15,842,842원 및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다만, 원고 A의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과실 20%를 인정하여 손해배상액을 제한하고, 원고 B의 일부 손해 청구는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2021년 2월 26일 07:40경, D은 순천시 율촌산단1로 80-7에 있는 교차로에서 신호를 위반하여 직진하던 중, 신호에 따라 진행하던 원고 A의 아반떼 차량 우측 앞부분을 자신의 아반떼 차량 앞범퍼로 들이받았습니다. 이 사고로 원고 A은 '늑골의 염좌 및 긴장' 등의 상해를 입었고, 원고 차량에 동승하고 있던 원고 B은 '경추의 염좌 및 긴장' 등의 상해를 입었으며 치아 손상도 발생했습니다. 사고 후 원고 A은 통원치료를, 원고 B은 14일간 입원치료를 받았습니다.
교통사고로 인한 원고들의 손해배상 범위와 과실 상계 여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특히, 원고 A의 안전벨트 미착용 과실이 손해배상액에 미치는 영향과 원고 B의 상해 정도에 따른 일실수입, 치과 치료비, 향후 치료비 등 구체적인 손해 항목의 인정 범위가 다뤄졌습니다.
피고 C 주식회사는 원고 A에게 2,871,200원, 원고 B에게 15,842,842원 및 위 각 돈에 대하여 2021년 6월 26일부터 2023년 2월 23일까지는 연 5%,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각 비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원고들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되었고, 소송비용 중 1/4은 피고가, 나머지는 원고들이 각 부담합니다.
법원은 신호 위반으로 사고를 유발한 가해 차량 운전자의 보험사에 피해자들의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피해 운전자의 안전벨트 미착용 과실을 20% 인정하여 손해배상액을 제한하고, 피해 동승자의 손해 항목 중 일부는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원고들의 청구는 일부 인용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민법상의 불법행위 책임과 관련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먼저, '민법 제750조(불법행위의 내용)'에 따라, 가해 차량 운전자 D의 신호 위반 행위는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인정되어 피해자들에게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발생합니다. D과 보험계약을 체결한 피고 보험사는 이 배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손해배상의 범위는 '민법 제763조(손해배상액의 산정)' 및 '민법 제393조(손해배상의 범위)'에 따라 통상의 손해를 한도로 산정되며, 원고들의 치료비, 일실수입, 향후 치료비, 교통비, 보조구 구입비 등 적극적·소극적 손해와 정신적 손해에 대한 위자료가 인정되었습니다. 또한, '과실상계'는 '민법 제763조' 및 '제396조'에 근거하여, 손해의 발생이나 확대에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는 경우 이를 참작하여 손해배상액을 감액하는 원칙입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 A의 안전벨트 미착용은 피해 확대를 야기한 과실로 인정되어 20%의 과실상계가 적용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연손해금'은 '민법 제379조'에 따라 금전 채무의 이행을 지체한 경우에 부과되며, 소송이 제기된 이후에는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에 따라 더 높은 이율(연 12%)이 적용되어 피고에게 지연된 배상에 대한 책임을 묻게 됩니다.
교통사고 발생 시 자신의 과실이 손해배상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항상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원고 A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아 피해 확대 과실 20%가 인정되어 손해배상액이 줄어들었습니다. 사고 피해자는 치료비, 일실수입, 향후치료비(성형외과 수술비, 임플란트 시술비 등), 교통비, 보조구 구입비, 위자료 등 다양한 손해 항목에 대해 청구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상해 내용이나 상해 정도에 비추어 필요한 치료 기간과 손실된 수입을 명확히 입증할 수 있는 진단서, 소득 관련 서류, 치료 기록 등을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임플란트 시술과 같이 이미 치료가 완료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노동능력상실이나 향후 치료비가 인정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감정 결과를 통해 필요성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