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속
피상속인 사망 후 상속재산 분할 협의가 진행되던 중, 상속인 중 한 명인 상대방 5가 자신의 상속세 납부를 체납하여 법정상속분에 해당하는 지분 일부가 공매 처분되었습니다. 이에 원심은 공매된 재산을 공동상속인 전체의 상속비용으로 보아 분할 대상 상속재산에서 제외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파기하고 해당 재산은 개별 상속인의 상속세 납부에 사용된 것이므로 공동 상속재산 분할 대상에서 제외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피상속인 사망 후 상속인들은 여러 상속재산에 대해 분할 협의를 진행했습니다. 일부 재산에 대해서는 협의가 완료되었으나, 나머지 재산에 대해서는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각자의 법정상속분 비율에 따라 상속 등기가 마쳐졌습니다. 이후 상속인 중 한 명인 상대방 5가 자신에게 부과된 상속세를 체납하자, 대한민국은 상대방 5의 법정상속분에 해당하는 지분을 압류하여 공매하고 그 대금으로 상속세를 충당했습니다. 이로 인해 상속인들 사이에서는 공매된 재산이 전체 상속재산 분할에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공동상속인 중 한 명이 자신의 상속세 납부를 체납하여 그의 법정상속분에 해당하는 재산이 공매된 경우, 이 공매 재산을 모든 공동상속인의 '공통 상속비용'으로 보아 상속재산 분할 대상에서 제외해야 하는지 여부였습니다.
대법원은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대법원은 상속재산 분할 전에 특정 상속인의 법정상속분에 따라 귀속된 재산이 그 특정인의 상속세 납부에 공여되었다고 해서 이를 공동상속인 전체의 상속비용으로 보아 분할대상 상속재산에서 제외해서는 안 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은 상속세는 각 상속인이 자신의 상속 재산에 비례하여 납부할 고유한 의무가 있으며, 비록 다른 상속인에 대해 연대 납세 의무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과세권자에 대한 관계일 뿐 공동상속인들 사이에서는 다른 상속인의 고유 상속세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한 상속인의 상속세 납부를 위해 공매된 재산은 공동상속인들 전체의 상속비용으로 볼 수 없으며, 이는 상속재산 분할 대상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은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10. 1. 1. 법률 제9916호로 일부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항 및 제4항입니다.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조 제1항은 '상속인은 각자가 받았거나 받을 재산의 비율에 따라 상속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여, 각 상속인의 개별적인 납세 의무를 명확히 합니다. 같은 조 제4항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상속세는 상속인 각자가 받았거나 받을 재산을 한도로 연대하여 납부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여, 공동상속인들 사이에 연대 납세 의무가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법리는 공동상속인 각자가 과세권자(국가)에 대해서는 자신의 몫뿐만 아니라 다른 상속인의 세금에 대해서도 연대하여 책임을 지지만, 상속인들 내부 관계에서는 각자가 고유한 상속분에 따른 세금을 부담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어떤 상속인의 법정상속분이 그의 상속세 납부에 사용되었다면, 이는 그 상속인의 개별적인 부담이며 다른 상속인들과 공동으로 부담하는 '상속비용'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 기준이 되었습니다.
상속재산 분할과 관련하여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내용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 납부 의무는 원칙적으로 각 상속인이 자신이 상속받았거나 받을 재산의 비율에 따라 부담합니다. 비록 상속세법상 공동상속인들이 연대하여 상속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는 세금을 부과하는 국가에 대한 관계에서 그러한 것이며 상속인들 사이에서 각자의 고유 상속세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나누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상속재산이 분할되기 전에 특정 상속인의 법정상속분이 그의 개별 상속세 납부에 사용되었다면, 이 부분은 전체 공동상속인들의 공통 비용으로 간주되지 않고 해당 상속인의 개별적인 부담으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상속재산 분할 협의 시에는 각 상속인의 상속세 납부 의무 및 그 처리 방안을 명확히 정하고 문서화하는 것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는 데 중요합니다. 상속세 체납으로 인한 재산의 공매는 상속인들 간의 복잡한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상속세 납부 기한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