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원고 A는 피고 주식회사 D와의 구두 계약을 통해 G 복합화력발전소 탱크제작설치공사 관련 업무를 수행했으므로, 미지급 임금 또는 용역대금 24,499,994원을 지급해달라고 청구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는 인센티브 지급 계약이었고 조건 미충족을 주장했으며,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입증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원고 A는 2021년 12월 15일부터 2022년 4월 15일까지 약 4개월간 G 복합화력발전소 탱크제작설치공사와 관련하여 피고 주식회사 D와 월 7,000,000원의 급여 또는 대금을 받기로 하는 구두 근로계약 또는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업무를 수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원고는 퇴직 후 미지급 임금 또는 용역대금으로 총 24,499,994원을 청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피고 주식회사 D는 원고 A와 공사 완료 시 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하는 인센티브 지급 계약을 맺었을 뿐이며, 해당 인센티브 지급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으므로 원고의 청구는 부당하다고 맞섰습니다. 이로 인해 양측의 계약 내용과 대금 지급 의무에 대한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원고 A가 피고 주식회사 D와 월 7,000,000원의 급여(또는 대금)를 받기로 하는 구두 근로계약 또는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근무(또는 용역 수행)했는지, 이에 따라 미지급 임금 또는 용역대금 24,499,994원을 지급받을 권리가 있는지 여부. 피고는 인센티브 지급 계약이었고 조건 미충족을 주장하며 핵심 쟁점은 원고 주장의 입증 책임과 증거 유무입니다.
원고 A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고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법원은 원고 A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 주식회사 D와 근로계약 또는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미지급 임금 또는 용역대금이 발생했다는 원고의 주장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며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도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다고 보아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은 계약의 성립과 내용 입증에 대한 기본적인 법적 원칙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구두 계약의 법적 효력과 입증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