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 노동
공무원 A씨가 혼인 기간 중 다른 이성과의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임신 중인 배우자를 협박 및 폭행하여 품위유지의무를 위반한 사실이 인정되어 강등 처분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비위 행위가 이전 징계로 인한 승진임용 제한 기간 종료 후 1년 이내에 발생하여 징계가 가중되었으며 A씨는 이에 불복하여 처분 취소를 주장했으나 법원은 징계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공무원 A씨는 2015년 4월경부터 9월경까지 혼인 기간 중 다른 이성과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임신 중이던 배우자에게 전기렌지, 유리컵 등을 던져 폭행했습니다. 또한 2015년 5월 29일에는 아내가 앉아 있던 침대 매트리스에 식칼을 꽂으며 “나는 부부 사이에 부부싸움을 하다 왜 죽여 버리는지 이해하겠다”고 위협하여 특수협박 혐의로 벌금 700만 원의 유죄판결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비위 사실과 더불어 2014년 음주운전으로 인한 감봉 징계 후 승진임용 제한 기간이 종료된 지 1년 이내에 다시 비위가 발생하여, 전라북도지사는 A씨에게 지방공무원법 제55조 품위유지의무 위반 등을 이유로 2018년 11월 17일 강등 처분을 내렸습니다. A씨는 이에 불복하여 강등 처분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공무원 A씨의 외도 및 배우자에 대한 협박, 폭행이 공무원으로서의 품위유지의무를 위반한 행위로 보아 강등 처분을 내린 것이 재량권을 일탈하거나 남용한 것인지 여부입니다. 특히 이전 징계 이력으로 인해 가중된 처분이 정당한지에 대한 다툼이 있었습니다.
법원은 원고 A씨의 청구를 기각하고 전라북도지사가 내린 강등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A씨의 외도, 임신한 배우자에 대한 폭행 및 식칼을 이용한 특수협박 행위가 공무원으로서의 품위를 손상한 비위이며 비난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징계 처분 시 A씨의 아내 목에 칼을 들이댄 혐의는 제외되었음을 확인했으며 단순히 다른 사건의 '죄명'만으로 징계의 경중을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이전 징계(음주운전 감봉) 후 승진임용 제한 기간 종료 1년 이내에 발생한 비위에 대해 징계를 가중할 수 있다는 규정(지방공무원 징계규칙 제6조)을 적용한 것 또한 합리적이라고 보아 강등 처분이 재량권 일탈이나 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공무원의 징계 처분은 관련 법령과 규정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지방공무원법 제55조 (품위유지의무)는 공무원이 직무 내외를 불문하고 그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본 사례에서 A씨의 외도, 임신한 배우자에 대한 폭행 및 특수협박 행위는 공무원으로서의 품위를 손상한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지방공무원 징계규칙 제6조 (징계양정의 기준)는 승진임용 제한 기간이 종료된 후 1년 이내에 발생한 비위로 징계 의결이 요구된 경우 1단계 위의 징계로 의결할 수 있다고 규정합니다. A씨는 과거 음주운전으로 감봉 징계를 받은 이력이 있었고 승진임용 제한 기간 종료 후 1년 이내에 다시 비위를 저질렀기에 이 규정에 따라 강등 처분이 가중될 수 있었습니다. 지방공무원법 제69조 제1항 제3호에 따른 '강등'은 공무원의 직급을 1계급 아래로 내리고 3개월간 보수를 전액 삭감하는 가장 무거운 징계 중 하나입니다. 또한 A씨가 주장한 '재량권 일탈·남용'은 행정 기관의 처분이 법령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목적을 위반하는 등 부당한 경우를 의미하나 법원은 이 사건에서 피고의 징계 처분이 재량권의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공무원은 사적인 생활에서도 엄격한 품위유지의무를 지니고 있습니다. 배우자에 대한 폭행이나 협박과 같은 가정 내 비위 행위는 공무원으로서의 품위를 손상하는 중대한 비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과거 징계 전력이 있거나 징계에 따른 승진임용 제한 기간 종료 후 단기간 내에 다시 비위를 저지를 경우 징계 수위가 가중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징계 처분에 불복할 경우 단순히 다른 사건의 '죄명'만으로 경중을 주장하기보다는 해당 행위의 구체적인 태양, 죄질, 공무원으로서의 책임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응해야 합니다. 형사 처벌을 받은 비위 행위는 행정 징계 처분의 강력한 근거가 되므로 형사 사건 진행 과정에서 신중한 대응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