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혼
원고 B와 피고 D는 이혼 및 위자료, 재산분할, 자녀 친권 및 양육권 등 여러 쟁점으로 서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 B는 피고 D의 부당한 대우와 가출로 혼인 관계가 파탄났다고 주장하며 이혼과 위자료, 재산분할을 청구했고, 피고 D를 자녀의 친권자 및 양육자로 지정해 달라고 했습니다. 반대로 피고 D는 원고 B의 무관심과 냉대로 혼인 관계가 파탄났다고 주장하며 이혼과 위자료, 양육비를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양측의 이혼을 결정하고, 피고 D가 원고 B에게 위자료 1,500만 원을 지급하며, 자녀의 친권행사자 및 양육자로 피고 D를 지정하고, 원고 B에게는 매월 2회 자녀 면접교섭권을 인정했습니다. 또한, 양측은 이혼과 관련된 모든 추가적인 청구를 포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원고 B와 피고 D 부부는 서로 상대방에게 혼인 관계 파탄의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갈등을 겪었습니다. 원고 B는 피고 D가 자신과 자신의 직계존속에게 부당하게 대우하고 가출하는 행동으로 인해 결혼 생활이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피고 D는 원고 B가 자신과 자녀 F에게 무관심하고 냉대하는 등 부당한 대우를 하여 혼인 관계가 파탄났다고 맞섰습니다. 이처럼 부부 각자가 상대방에게 혼인 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혼, 위자료, 재산분할, 자녀 양육권 및 양육비 등 복합적인 청구를 제기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혼인 관계 파탄에 따른 이혼 여부와 혼인 파탄의 책임 소재, 이에 따른 위자료 액수, 부부 공동 재산의 분할 방법 및 액수, 미성년 자녀의 친권 행사자 및 양육자 지정, 자녀 양육비 부담, 비양육자의 자녀 면접교섭권 인정 범위 등입니다.
법원은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결정했습니다:
법원은 부부의 이혼을 확정하고, 자녀의 양육권을 피고에게 부여하면서 비양육자인 원고에게는 면접교섭권을 인정했습니다. 또한, 피고가 원고에게 1,500만 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도록 명령하고, 당사자들이 추후 이혼 관련 모든 청구를 포기하는 것으로 분쟁을 종결지었습니다. 이는 이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쟁점들을 당사자 간 합의와 법원의 조정을 통해 일괄적으로 해결한 사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