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혼 · 기타 가사
2008년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둔 부부가 첫째 자녀의 안타까운 사망 후 깊은 갈등을 겪었습니다. 피고(아버지)의 폭언과 둘째 자녀에 대한 정서적 학대가 심해지자 원고(어머니)는 이혼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의 부적절한 언행이 혼인을 지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 이혼을 결정하고 피고에게 위자료 500만 원을 지급할 것과 둘째 자녀의 친권자 및 양육자로 원고를 지정하며 매월 양육비 200만 원을 지급하고 둘째 자녀의 의사에 따른 면접교섭을 명했습니다.
원고와 피고는 결혼 후 두 자녀를 두었으나, 2019년 첫째 자녀가 교통사고로 사망하면서 부부 관계에 균열이 생겼습니다. 피고는 상실감으로 인해 원고에게 "피고가 죽으면 원고와 사건본인은 장례식에 오지마라", "피고에게 원고는 여자가 아니고 법적 배우자, 사건본인의 모에 불과하다"는 등의 폭언을 하였습니다. 또한 둘째 자녀인 사건본인에게 "네가 지금까지 산 게 동생(망인) 7년 산 거 보다 못하다"고 말하는 등 정서적으로 심각한 상처를 주었습니다. 이로 인해 사건본인은 피고에 대해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원고 역시 피고와의 결혼 생활 유지가 자녀의 양육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여 별거 후 이혼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는 자신의 행동이 우울증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원고가 자신을 보호하고 보살필 의무가 있다고 항변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배우자의 폭언과 자녀에 대한 정서적 학대가 민법상 이혼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이혼 시 위자료 액수, 미성년 자녀의 친권자 및 양육자 지정, 양육비 및 면접교섭 조건 결정
법원은 원고와 피고의 이혼을 명했습니다. 피고는 원고에게 위자료 500만 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해야 하며, 사건본인의 친권자 및 양육자는 원고로 지정되었습니다. 피고는 원고에게 사건본인의 양육비로 2023년 4월 13일부터 성년에 이르기 전날까지 월 200만 원을 매월 말일에 지급해야 합니다. 면접교섭은 사건본인의 의사에 따라 사건본인이 원하는 경우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되었습니다.
법원은 자녀의 사망 이후 피고가 보인 폭언과 둘째 자녀에 대한 정서적 학대가 혼인 관계를 지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민법 제840조 제6호)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이혼을 인용했습니다. 또한 미성년 자녀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친권 및 양육권을 원고에게 부여하고, 양육비 및 면접교섭 조건을 구체적으로 정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주로 민법 제840조(재판상 이혼원인)가 적용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친권자 및 양육자 지정, 양육비, 면접교섭에 대한 결정은 가사소송법 및 관련 법률에 따라 미성년 자녀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내려집니다. 법원은 자녀의 나이, 부모의 소득 및 경제적 능력, 양육 환경, 그리고 가장 중요한 자녀의 의사 등 모든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자녀의 정신적 건강과 행복이 부모의 권리보다 우선시됨을 보여주며, 특히 면접교섭의 경우 자녀의 의사가 존중되었습니다.
자녀의 사망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은 가족 모두에게 깊은 상처를 남기며 부부 관계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부부가 함께 상실감을 극복하고 서로를 지지하는 노력이 중요하며, 필요하다면 심리 상담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배우자나 자녀에게 폭언, 모욕, 정서적 학대를 가하는 행위는 민법상 이혼 사유인 '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녀에게 가해지는 정서적 학대는 자녀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며 이혼 소송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배우자의 우울증이나 정신적 어려움은 이해받아야 하지만, 그것이 배우자나 자녀에 대한 부당한 대우나 학대를 정당화할 수는 없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피해 당사자, 특히 자녀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이혼의 경우, 친권자 및 양육자 지정, 양육비, 면접교섭은 자녀의 나이, 부모의 경제적 능력, 양육 환경, 자녀의 의사 등 모든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녀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결정됩니다. 자녀의 의사는 면접교섭 조건을 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