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교통범죄 · 행정
이 사건은 원고 A가 교통사고를 낸 후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고 현장을 떠나 도로교통법 위반(도주치상) 혐의로 운전면허 취소 처분을 받게 되자, 이 처분이 부당하다며 취소를 구한 행정소송입니다. 원고는 처분 절차의 위법성, 사실 오인, 재량권 남용 등을 주장했지만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고 운전면허 취소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2018년 4월 24일 밤, 원고 A는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전방주시 태만으로 우측 골목에서 직진하던 피해자 D의 차량을 충격하는 사고를 냈습니다. 이 사고로 피해자는 약 2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부상을 입었고, 피해 차량은 약 1,120,173원의 수리비가 들 정도로 파손되었습니다. 원고는 사고 직후 즉시 정차하여 피해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현장을 떠났습니다. 이에 피고는 2019년 6월 14일, 원고에게 자동차운전면허 취소 처분을 내렸고, 원고는 이 처분이 부당하다며 행정심판을 거쳐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한편 원고는 위 사고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치상) 혐의로 약식기소되어 벌금 5,000,000원의 약식명령을 받아 확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장이 원고에게 내린 자동차운전면허(제1종 보통) 취소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따라서 원고는 운전면허를 회복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은 행정절차법 위반 주장에 대해 원고가 이미 사전 통지 및 의견 진술 과정에서 처분 사유를 충분히 인지했으므로 절차상 하자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사고 발생 경위, 피해 차량의 파손 정도, 피해자의 부상 정도, 그리고 원고의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치상)죄 확정 약식명령 등을 근거로 피해자 구호의 필요성과 원고의 도주 의사가 충분히 인정된다고 보아 사실오인 주장을 배척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재량권 일탈·남용 주장에 대해서는 운전면허 취소 기준에 부합하고, 생명·신체 보호라는 공익 목적이 매우 중요하며, 원고가 입을 불이익이 한시적이라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재량권 남용으로 보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