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민사사건
A 주식회사는 주식회사 C를 상대로 특정 상가 호실에 담배 판매가 가능한 편의점을 입점시켜 주기로 한 약정 불이행을 이유로 분양계약 해제 및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와 원상회복을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주식회사 C가 담배 판매가 가능한 편의점 입점을 보장할 의무를 부담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며 원고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원고는 피고로부터 상가 호실을 분양받는 과정에서, 이 호실에 담배 판매가 가능한 편의점을 입점시키기로 약정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보낸 공문(2022. 12. 15.자)과 피고의 분양대행사 직원과의 카카오톡 대화 및 합의서 초안을 근거로 이 약정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보았고, 이를 이유로 분양계약을 해제하고 이미 넘어간 부동산 소유권 이전등기를 말소하며 지급한 돈(2,151,794,940원 등)을 돌려달라고 요구했습니다. 피고는 공문은 매도확약서 제출 약정일 뿐 편의점 입점 보장은 아니며, 분양대행사 직원은 자신을 대리할 권한이 없었다고 반박했습니다.
피고가 원고에게 특정 상가 호실에 담배 판매가 가능한 편의점 입점을 보장하기로 약정했는지 여부와, 약정이 있었다면 피고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해 원고가 분양계약을 해제하고 소유권이전등기 말소 및 원상회복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피고가 보낸 공문이나 분양대행사 직원의 말이 피고의 약정으로 볼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제1심 법원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아 원고의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즉, 피고가 담배 판매가 가능한 편의점 입점을 보장할 의무를 부담한다는 원고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가 청구한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와 원상회복 등도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피고가 보낸 공문은 O 편의점의 매도확약서를 제출하겠다는 취지이지 담배 판매가 가능한 편의점 입점을 직접 보장하겠다는 의미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분양대행사 직원의 약정은 피고를 대리할 권한이 없으므로 피고에게 효력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원고는 주장하는 채무불이행을 인정받지 못해 계약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부동산 소유권은 피고에게 유지되고 금전 지급 청구도 기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