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 기타 형사사건
피고인 A, B, C 주식회사, D 주식회사가 철강 공급 거래에서 중간에 D 회사를 끼워 넣어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수취함으로써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허위세금계산서교부등) 및 조세범처벌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원심은 유죄를 선고했으나 항소심은 D 회사가 실질적인 경제 주체로서 역할을 수행했다고 보아 모든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 B, C 주식회사, D 주식회사는 E 등 → D 주식회사 → C 주식회사로 이어지는 철강 거래에서 D 주식회사가 실질적 역할 없이 끼어든 명목상의 회사에 불과하며, 이들 사이에 발급된 공급가액 합계 22,389,308,908원 상당의 세금계산서가 허위라고 판단되어 기소되었습니다. 또한 C 주식회사가 E 등으로부터 고탄소강을 공급받으면서도 세금계산서 총 14,246,622,003원 상당을 발급받지 않았다는 혐의도 포함되었습니다. 원심은 이 사건 거래를 명목상의 거래로 보고 피고인 A과 B에게 각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 및 벌금 45억 원 등을, 피고인 C 주식회사와 D 주식회사에게 각 벌금 6억 원 등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들은 항소하며 거래가 실물거래에 해당하고 조세회피 목적이 없었으며, 세금계산서 미수취 혐의도 부인했습니다.
이 사건 철강 거래에서 중간 거래업체인 D 주식회사가 실질적인 재화의 인도 또는 양도가 없는 명목상의 회사에 불과하여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 및 수취 행위가 성립하는지 여부입니다.
항소심 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모든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으며, 이 판결의 요지를 공시했습니다.
항소심 법원은 D 주식회사가 중간 거래업체로서의 계약을 유효하게 체결하고 나름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C 주식회사가 중간 거래업체를 둘 경영상의 필요가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철강업계에서 중간 거래업체를 통한 수출입 거래가 이례적이지 않고 D 주식회사가 최소한의 설비를 갖추고 있었으며, 모든 부가가치세 및 법인세를 신고·납부한 점 등을 종합하여 이 사건 거래가 실질적인 재화의 이동이 없는 명목상의 거래로 보기 어렵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 사건은 세금계산서의 허위성 여부와 조세범 처벌에 관한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복잡한 거래 구조를 설계할 때는 실질적인 사업상의 필요와 목적을 명확히 문서화해야 합니다. 특히 중간 거래업체가 개입하는 경우 해당 업체가 계약 체결, 대금 지급, 물류 관리 아웃소싱, 세금계산서 발행 및 세금 납부, 클레임 처리 등 각 계약에 따른 역할을 수행했다는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간 거래업체의 인적·물적 설비가 최소한에 불과하거나 최초 공급자로부터 최종 수요자에게 직접 운송되는 방식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해당 거래가 가지는 사업적 합리성과 역할 수행의 증거가 충분하다면 허위 거래로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모든 세금 관련 의무를 정확히 이행하고 신고·납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정 거래 형태를 선택한 경영상의 이유를 명확히 소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