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형사사건 · 노동
피고인 A는 자동차 수리업체 C의 대표로서 퇴직한 근로자 D에게 퇴직금 7,298,770원을 지급하지 않아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위반으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 측은 D이 근로자가 아니므로 퇴직금 지급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근로자 여부를 판단하는 여러 기준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D이 임금을 목적으로 피고인에게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가 운영하는 자동차 수리업체 C에서 현장 출동 업무를 수행했던 D이 퇴직 후 퇴직금 7,298,770원을 받지 못하자, 피고인이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을 위반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은 D이 근로자가 아닌 '업무위탁계약'을 맺은 독립적인 사업자였다고 주장하며 퇴직금 지급 의무가 없음을 다퉜습니다.
퇴직금을 받지 못한 D이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이 사건의 핵심 쟁점입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계약의 형식보다는 실질적인 근로관계의 종속성을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피고인은 무죄.
법원은 피해자 D이 피고인에게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피고인에게 퇴직금 미지급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 사건은 '근로자'의 정의와 범위에 대한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고려하여 근로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