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행/강제추행
피고인 A는 B회사 팀장으로서 부하 직원인 피해자 C(25세 여성)를 2024년 2월 말부터 3월 말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업무상 위력을 이용하여 추행했습니다. 흡연실이나 주차장 등에서 어깨를 주무르거나 손을 잡고, 손을 쓰다듬거나 어깨를 감싸고, 엉덩이를 만지는 등의 행위를 했으며, 돈을 빌려주겠다며 피해자를 끌어안고 귓불을 만지기도 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팀장으로서 피해자에게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위에 있었고, 피해자가 거절 의사를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웠던 점 등을 인정하여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팀장으로서 부하 직원인 피해자 C에 대해 다음과 같은 추행 행위를 저질렀습니다.
이 모든 행위는 피고인이 피해자의 상사라는 지위를 이용하여 피해자가 거절의 의사표시를 하지 못하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행사한 신체 접촉 행위들이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특히, 피고인이 팀장으로서 피해자의 업무나 고용 관계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지위에 있었는지, 그리고 피해자가 이러한 상하 관계 때문에 피고인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 거절의 의사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는지가 중요한 판단 요소였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벌금 700만 원을 선고하고,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할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피고인을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명령했습니다. 또한 40시간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하고, 위 벌금에 상당한 금액의 가납을 명령했습니다. 다만, 피고인의 나이, 직업, 재범 위험성, 범행의 경위 및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상정보 공개·고지 및 취업제한 명령은 면제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팀장으로서의 지위와 피해자와의 상당한 나이 차이를 이용하여 부하 직원을 추행한 사실을 인정하여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재범 방지를 위해 벌금형과 함께 성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했으며, 신상정보 등록 의무를 부과했으나, 기타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공개·고지 및 취업제한 명령은 면제되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적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