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금전문제
서울 강남구의 한 재건축조합이 분양 신청 기간 내에 분양 신청을 하지 않은 상가 소유주를 상대로 부동산 매도를 청구하고, 상가 소유주는 이에 대한 현금 청산금 지급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상가 소유주가 분양 신청을 하지 않아 조합원 지위를 상실하고 현금 청산 대상자가 되었음을 인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재건축조합은 상가 소유주에게 감정평가액인 95,700,000원을 지급함과 동시에 상가 소유주는 재건축조합에게 해당 상가를 인도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재건축조합의 나머지 본소 청구(소유권이전등기)와 상가 소유주의 나머지 반소 청구(지연손해금)는 기각되었습니다.
서울 강남구에 있는 한 상가건물에 대해 A재건축조합이 재건축을 추진하면서 2022년 11월 1일부터 12월 6일까지 조합원을 대상으로 분양 신청을 공고했습니다. 조합은 분양 신청을 하지 않거나 신탁등기를 하지 않은 경우 조합원 지위를 잃고 현금 청산 대상자가 되어 매도 청구 소송이 진행될 것이라고 공지했습니다. 피고 B는 자신의 상가 호실을 A재건축조합에 신탁등기했지만, 정해진 분양 신청 기간 내에 분양 신청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A재건축조합은 피고 B를 현금 청산 대상자로 보고 소유 부동산의 매도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고, 피고 B는 이에 맞서 현금 청산금 지급을 요구하는 반소(맞소송)를 제기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재건축조합의 분양 신청 공고 후 분양 신청을 하지 않은 조합원에 대해 재건축조합이 부동산 매도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와 이때의 매매대금 산정 기준 및 지급 시기, 그리고 해당 부동산의 인도 의무와 현금 청산금 지급 의무의 동시이행 여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또한, 이미 신탁등기가 된 부동산에 대해 소유권이전등기 의무가 있는지, 상가를 제3자에게 임대한 경우 부동산 인도 의무 이행이 불가능한지 여부도 다투어졌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판결을 내렸습니다.
피고 B는 원고 A재건축조합으로부터 95,700,000원을 지급받음과 동시에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을 인도해야 합니다. 원고 A재건축조합은 피고 B로부터 별지 목록 기재 부동산을 인도받음과 동시에 95,700,000원을 지급해야 합니다. 원고 A재건축조합의 나머지 본소 청구(소유권이전등기)와 피고 B의 나머지 반소 청구(지연손해금)는 기각되었습니다. 본소와 반소를 통틀어 소송비용은 원고 A재건축조합이 50%, 피고 B가 나머지 50%를 부담합니다.
이 사건은 재건축 사업에서 발생하는 매도 청구 및 현금 청산과 관련된 법적 원칙들을 다루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