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류/처분/집행
A 주식회사가 B에게 구상금을 청구한 사건에서 서울남부지방법원의 원심 판결 이후 B가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하였으나 대법원이 상고를 기각한 사건입니다.
A 주식회사가 피고 B에게 구상금을 청구한 민사사건으로, 원심에서 판결이 내려진 후 피고 B가 이에 불복하여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했습니다.
소액사건에 해당하는 경우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할 수 있는 요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입니다.
대법원은 피고 B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이 사건은 소액사건심판법 제2조 제1항과 소액사건심판규칙 제1조의2에서 정하는 소액사건에 해당합니다. 소액사건의 경우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에서 정한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에만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할 수 있는데 피고 B가 내세운 상고이유는 이러한 법률에서 정한 상고허용사유에 해당하지 않아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소액사건심판법 제2조 제1항 및 소액사건심판규칙 제1조의2: 이 조항들은 소액사건의 범위를 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이 규정에 따라 소액사건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민사사건과는 다른 특별한 절차가 적용되었습니다.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 소액사건의 경우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는 특별한 사유들을 한정적으로 나열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 B는 이 조항에서 정한 상고허용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상고이유를 내세웠기 때문에 대법원이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이는 소액사건의 경우 법령 해석에 대한 중대한 오류나 헌법 위반 등 특별한 사유가 아니면 대법원까지 가서 다투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액사건은 신속한 해결을 위해 일반 사건과 달리 대법원 상고에 엄격한 제한을 둡니다. 소액사건으로 분류되는 사건에서는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는 사유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대법원 상고를 고려할 때는 해당 사건이 소액사건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에서 정하는 상고허용사유에 해당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상고 이유가 법률에 명시된 특별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상고가 기각될 수 있으며 상고비용까지 부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