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행 · 공무방해/뇌물
이 사건은 아파트 주차 문제로 시작된 시비가 폭행 사건으로 번지고,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에게까지 폭력을 행사하여 공무집행방해 혐의가 추가된 사례입니다. 피고인 A는 주차 시비 중 피해자 B를 폭행하여 벌금 4,000,000원을 선고받았으나, 폭행치상 혐의 중 상해 부분은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로 판단되었습니다. 피고인 B는 피고인 A를 폭행하고, 출동한 경찰관에게 폭력을 행사하여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습니다.
2022년 10월 4일 새벽, 평택의 한 아파트 공동현관문 부근 노상에서 피고인 A와 피고인 B, E, F가 주차 문제로 시비가 붙어 서로 다툼을 벌이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인 A는 피해자 B의 얼굴이나 머리를 수회 때리고 넘어뜨리는 등 폭행을 가했습니다. 이에 맞서 피고인 B 역시 피고인 A의 머리채를 잡고 옷을 잡아당기는 등으로 폭행했습니다.
112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 H 경위가 F를 현행범으로 체포하려 하자, 피고인 B는 이에 불만을 품고 H 경위의 가슴을 수회 때리는 등 경찰관의 정당한 직무집행을 방해했습니다. 이로 인해 피고인 B에게는 공무집행방해 혐의가 추가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피고인 A의 폭행치상 혐의 중 상해 사실이 합리적인 의심 없이 증명되었는지 여부와, 피고인 B의 상대방 폭행 및 경찰관에 대한 공무집행방해 사실이 인정되는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폭행죄를 인정하여 벌금 4,000,000원을 선고했으며,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0,000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노역장에 유치하고 벌금 상당액의 가납을 명했습니다. 반면 폭행치상 혐의 중 상해 부분은 증명이 부족하다며 무죄로 판단했습니다.
피고인 B에게는 공무집행방해죄와 폭행죄를 모두 인정하여 징역 6월에 처하고, 다만 이 판결 확정일부터 2년간 위 형의 집행을 유예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결론적으로 피고인 A는 상대방 폭행 혐의로 벌금형을 받았고, 피고인 B는 상대방 폭행과 경찰관 폭행으로 인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습니다. 특히 피고인 A의 폭행치상 혐의 중 상해 부분은 피해자의 진술과 영상 증거만으로는 상해 발생 경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무죄로 판단되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형법 제260조 제1항 (폭행죄): 사람의 신체에 대하여 폭행을 가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50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합니다. 피고인 A와 피고인 B 모두 상대방에 대한 폭행 혐의에 이 조항이 적용되어 처벌받았습니다.
형법 제136조 제1항 (공무집행방해죄):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에 대하여 폭행 또는 협박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피고인 B가 출동한 경찰관에게 폭력을 행사한 행위에 이 조항이 적용되어 더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되었습니다.
형사재판에서 유죄 인정의 원칙: 형사재판에서 유죄가 인정되려면 법관으로 하여금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이 진실하다는 확신을 가지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 검사가 이러한 확신을 줄 만큼 충분히 증명하지 못한 경우에는 설령 유죄의 의심이 들더라도 피고인의 이익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례의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이 원칙에 따라 피고인 A의 폭행치상 혐의 중 상해 발생 경위가 불분명하여 폭행과 상해 사이의 인과관계가 합리적인 의심 없이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25조 후단).
형법 제62조 제1항 (집행유예):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할 경우,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으면 일정 기간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 B에게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징역형이 선고되었지만,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2년간 형의 집행을 유예받았습니다.
형법 제70조 제1항, 제69조 제2항 (노역장 유치):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 금액을 일정한 금액으로 환산한 기간 피고인을 노역장에 유치할 수 있도록 한 조항입니다. 피고인 A에게 선고된 벌금형에 부과된 내용입니다.
형사소송법 제334조 제1항 (가납명령): 벌금 또는 과료를 선고하는 경우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그 판결 확정 전이라도 벌금 또는 과료 상당액의 가납을 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판결 확정 전에 벌금형의 효력을 발생시키는 제도입니다.
아파트 주차 문제와 같은 사소한 다툼이라도 감정적으로 대응하여 폭력으로 이어지는 경우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상대방이 먼저 폭력을 행사했더라도 그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정당방위의 한도를 넘어서는 행위는 또 다른 폭행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경찰관이 사건 현장에 출동하여 공무를 집행할 때, 이에 불만을 품고 경찰관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공무집행방해죄'로 엄중하게 처벌됩니다. 이는 공권력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되어 단순히 폭행죄보다 더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폭행으로 인한 상해 여부는 매우 중요한 쟁점이므로, 사건 발생 직후 병원 진단서 등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진단서만으로 상해가 폭행으로 인한 것임이 명확히 증명되지 않을 경우 해당 혐의가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해의 발생 경위와 폭행 사이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입증되어야 합니다.
술에 취한 상태에서 벌어진 사건이라도 법적인 책임은 면제되지 않습니다. 음주가 심신미약으로 인정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므로, 술에 취했다는 이유만으로 처벌을 피하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