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류/처분/집행
원고 A 주식회사는 피고 B 및 C 주식회사와 각각 '자금투자계약서'를 체결하고 부동산 사업 자금으로 총 60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계약서에는 원금과 고액의 투자수익금을 확정적으로 지급하고 부동산 관련 담보를 제공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피고들이 약정된 기한 내에 자금 및 수익금을 지급하지 않자, 원고는 계약서에 명시된 대로 원금과 투자수익금의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피고들은 이 계약이 투자계약이 아닌 금전소비대차 계약이므로 이자제한법이 적용되어 투자수익금 부분이 무효이며, 자신들의 기한이익이 상실되지 않았고, 나아가 원고의 기망 또는 착오로 계약을 체결했으므로 계약을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당사자 간의 '자금투자계약'이 실질적으로는 '금전소비대차계약'이라고 판단하여 이자제한법을 적용하고, 피고들이 기한이익을 상실하여 원금과 법정 최고 이율에 따른 이자 및 지연손해금을 원고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피고들의 계약 취소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원고 A 주식회사는 피고 B 및 C 주식회사와 각각 '자금투자계약서'를 작성하고 부동산 사업 자금으로 총 60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계약서에는 원금과 고액의 투자수익금을 확정적으로 지급하고 부동산 관련 담보를 제공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피고들이 약정된 기한 내에 자금 및 수익금을 지급하지 않자, 원고는 계약서에 명시된 대로 원금과 투자수익금의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피고들은 이 계약이 투자계약이 아닌 금전소비대차 계약이므로 이자제한법이 적용되어 투자수익금 부분이 무효이며, 자신들의 기한이익이 상실되지 않았고, 나아가 원고의 기망 또는 착오로 계약을 체결했으므로 계약을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 각 계약의 법적 성격이 금전소비대차계약인지 투자계약인지 여부, 기한이익 상실 사유의 존재 및 이행기 도래 여부, 이자제한법 적용 여부 및 적용 시 차용금 채무의 구체적인 범위, 그리고 민법상 착오 또는 기망에 의한 계약 취소 사유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 B 주식회사에 대해 원고에게 3,920,273,971원 및 이 중 3,000,000,000원에 대하여 2023. 3. 14.부터 2024. 9. 12.까지는 연 6%,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피고 C 주식회사에 대해서는 원고에게 2,530,410,958원 및 이 중 2,000,000,000원에 대하여 2023. 3. 14.부터 2024. 9. 12.까지는 연 6%,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의 나머지 청구는 각 기각되었고, 소송비용 중 50%는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들이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법원은 당사자 간의 '자금투자계약'이 실질적으로는 '금전소비대차계약'이라고 판단하여 이자제한법을 적용하고, 피고들이 기한이익을 상실하여 원금과 법정 최고 이율에 따른 이자 및 지연손해금을 원고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피고들의 계약 취소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투자계약'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더라도, 원금과 수익금이 사업의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확정적으로 보장되고 지급될 것이 약정되었다면 법원은 이를 '금전소비대차계약'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전소비대차계약으로 인정될 경우, 이자제한법이 적용되어 법정 최고 이율을 초과하는 이자 약정은 무효가 되며 초과된 이자는 원금에 충당될 수 있습니다. (2021년 7월 7일 이후 계약은 연 20%가 최고이율이며, 그 이전 계약에 대해서는 해당 시기의 최고 이율이 적용됩니다). 담보 제공, 지연손해금 약정 등은 금전소비대차의 성격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채무자가 담보를 손상하거나 약정된 사업 진행 조건을 위반하면 기한의 이익을 상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채권자는 약정된 기한 전이라도 원리금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계약을 체결할 때는 명칭뿐 아니라 실제 내용과 당사자들의 진정한 의사를 면밀히 검토하고, 특히 원금 보장 및 확정 수익 약정 시 법적 성격과 이자제한법 적용 여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