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금전문제
주식회사 A가 한국가스공사에 특수경비 용역을 제공하던 중 특수경비원들에게 추가 임금을 지급하게 되자 한국가스공사를 상대로 정산금, 손해배상, 부당이득 반환, 공동불법행위로 인한 구상금 등을 청구했지만 법원은 원고의 모든 청구를 기각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특수경비원들의 실질적인 지휘·감독권이 용역 회사인 원고에게 있었으므로, 추가 임금 지급에 대한 책임을 한국가스공사에게 물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주식회사 A는 한국가스공사와 특수경비 용역 계약을 맺고 특수경비원을 파견했습니다. 하지만 특수경비원들에게 휴게시간이 제대로 부여되지 않아, 관련 법원 판결에 따라 주식회사 A는 특수경비원들에게 연장근로수당 및 야간근로수당 등 추가 임금 146,520,848원을 지급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주식회사 A는 한국가스공사가 특수경비원들의 근무를 관리·감독하며 휴게시간 미보장을 인지하고도 방치한 책임이 있다며, 이 추가 지급액에 대해 정산금,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부당이득 반환 또는 공동불법행위로 인한 구상금을 청구했습니다. 한국가스공사는 주식회사 A가 근로기준법을 준수할 의무를 부담하고 실질적인 지휘·감독권은 원고에게 있었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부인했습니다.
특수경비원들에게 추가로 지급된 임금에 대한 책임이 특수경비 용역을 발주한 한국가스공사에도 공동불법행위로서 구상금 청구의 형태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특수경비원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휘·감독권이 누구에게 있었는지에 따라 책임 소재가 결정되는지가 핵심 쟁점입니다.
원고인 주식회사 A의 항소와 이 사건에서 추가한 예비적 청구(공동불법행위에 따른 구상금 청구)를 모두 기각하고 항소 제기 이후의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는 피고인 한국가스공사는 원고에게 청구된 146,520,848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법원은 특수경비원들과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이들을 실질적으로 지휘·감독한 주체는 원고인 주식회사 A라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 한국가스공사가 용역 계약에 따라 관리·감독 권한을 행사했다고 하더라도, 이를 피고의 귀책사유로 특수경비원들에게 위법하게 손해를 가했다고 볼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피고에게 단독 불법행위 책임이나 원고와의 공동불법행위 책임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원고의 모든 청구는 이유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또한 원고가 추가 지급한 임금은 근로계약에서 정한 임금 미지급에 따른 것이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이 아니라는 점도 판단의 근거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법리는 '실질적 지휘·감독권'을 누가 행사했는지에 따라 근로기준법상 사용자 책임과 불법행위 책임의 소재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법원은 특수경비원들과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실질적으로 지휘·감독을 한 주체가 원고(주식회사 A)이므로, 피고(한국가스공사)에게는 특수경비원들에 대한 휴게시간 미보장 등의 책임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공동불법행위(민법 제760조)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각 행위가 위법하여 손해를 발생시키고 그 행위들 사이에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고의 행위가 위법하게 특수경비원들에게 손해를 가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되어 공동불법행위 책임이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더불어 부당이득반환(민법 제741조)은 법률상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이나 노무로 이익을 얻고 이로 인해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성립하는데, 이 사건에서는 피고가 법률상 원인 없이 이익을 얻었다고 볼 수 없어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용역 계약 시 근로자의 처우 및 근로기준법 준수 의무의 주체를 계약서에 명확하게 규정해야 합니다. 특히, 용역을 제공하는 업체는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휴게시간과 같은 근로조건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며, 이를 이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임금 미지급 등의 문제는 전적으로 용역 업체의 책임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큽니다. 근로자에 대한 '실질적인 지휘·감독권'이 누구에게 있었는지가 법적 책임 소재를 판단하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용역 발주 기관이 계약상 관리·감독 권한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근로자에 대한 '실질적인 지휘·감독'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면, 근로기준법상 책임이나 공동불법행위 책임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추가 임금 지급이 근로계약상 임금 미지급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인지 여부도 법적 책임 판단에 영향을 미치므로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