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 기타 형사사건
피고인 A는 서비스 및 여행업체 D의 대표자로서 2018년 7월부터 11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재화나 용역을 실제로 공급하거나 공급받은 사실 없이 허위 세금계산서 37매를 발급하고 9매를 수취했으며 허위 계산서 11매를 발급했습니다. 발급·수취된 허위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의 공급가액 합계는 총 22,718,309,361원에 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이지 않고 유죄로 인정하여 징역 3년과 벌금 46억 원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2018년 7월부터 D라는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E에 24억 원 상당의 화장품을 판매했다고 주장했으나, 실제 화장품 매입 증빙이 전혀 없고 관련 계약서도 허위로 작성된 정황이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Q에 94억 원 상당의 보따리상 알선 용역을 제공했다고 주장했으나, 관련 사업자금이나 영업비 지출 내역이 없고 구체적인 보따리상 명단 등 자료를 제출하지 못했습니다. 한편, 농업회사법인 F와 R로부터 화장품을 구매한 대가로 4억 1천만 원을 송금하고 세금계산서를 수취했다고 했지만, 이 돈은 실제 상품권 업체로 흘러 들어갔고 재화의 이동은 없었습니다. 피고인은 상품권 거래에 대해 계산서를 발급하는 것이 영수증의 의미로 문제없다고 생각했다고 진술했으나, 법원은 이를 법률의 착오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처럼 피고인은 영리를 목적으로 총 227억 원이 넘는 규모의 허위 세금계산서와 계산서를 발급하거나 수취하면서 국가의 정당한 조세 징수권을 방해하고 건전한 상거래 질서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피고인 A가 D를 운영하면서 E, Q 등에 발급하고 F, R, S 등으로부터 수취한 세금계산서 및 I, U 등에 발급한 계산서가 재화나 용역의 실제 공급 또는 수취 없이 이루어진 허위 문서인지 여부입니다. 피고인은 실제 거래가 있었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증거를 통해 이를 부정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징역 3년 및 벌금 46억 원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이 위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500일간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했고, 벌금에 상당하는 금액의 가납을 명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 A가 운영한 D가 실제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거나 공급받은 사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거액의 허위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를 발급·수취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특히 피고인이 주장하는 화장품 거래나 보따리상 알선 용역은 사업 초기 자금 부족, 매입 증빙 부족, 계약서 위조 의심, 거래처의 부인, 불투명한 자금 흐름 등으로 인해 실제 거래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상품권 거래는 부가가치세법상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계산서 발급은 허위이며, 법률의 부지는 정당한 이유가 될 수 없다고 보아 피고인의 모든 주장을 배척하고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이 사건은 주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제1항 및 제2항과 '조세범처벌법' 제10조 제3항 제1호, 제2호를 적용했습니다. 이들 법령은 재화나 용역을 실제로 공급하지 않거나 공급받지 않고 세금계산서 또는 계산서를 발급하거나 수취하는 행위를 엄격히 처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법리들을 종합하여, 법원은 피고인이 주장한 모든 거래가 실제 재화나 용역의 교환 없이 이루어진 허위 거래이며, 이는 조세범처벌법 및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것이라고 최종 결론 내렸습니다.
사업을 운영하면서 실제 재화나 용역의 거래 없이 세금계산서나 계산서를 발급하거나 수취하는 행위는 '가공 거래'로 간주되어 매우 심각한 범죄로 다루어집니다. 아무리 친분이 있는 사이라 할지라도 증빙 없이 돈을 주고받거나, 형식적으로 세금계산서만 주고받는 것은 나중에 큰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모든 거래는 실제 물품의 이동, 용역의 제공, 대금의 지급 등 실질적인 내용이 정확히 일치해야 하며, 이를 증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계약서, 매입/매출 장부, 계좌 이체 내역, 물류 운송 기록 등)를 철저히 보관해야 합니다. 특히 상품권과 같이 재화나 용역으로 보지 않는 품목에 대한 계산서 발행은 위법할 수 있으므로 관련 법규를 정확히 숙지해야 합니다. 단순히 '영수증' 목적으로 발행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거래 내용이 부합하지 않으면 허위 문서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세법에 대한 무지나 오해는 대부분의 경우 정당한 법률의 착오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의문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