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자 협회(피고)는 수년간 협회비 미납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자, 장기간 협회비를 체납한 회원사(원고들)들에게 여러 차례 납부를 독촉했습니다. 이후 협회 이사회 결의를 통해 미납 회비 납부 기한까지 미납할 경우 회원 자격을 완전히 상실시키고 재가입 시 체납금 외에 별도의 가입비를 내도록 결정했습니다. 원고들은 이러한 제명 처분이 협회 정관의 '자격 제재'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며, 너무 가혹한 처분이므로 무효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협회가 정관에 따른 절차를 거치지 않고, 회비 체납액이 비교적 소액임에도 회원사의 운수사업 영위 자체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의 중대한 불이익을 초래하는 제명 처분을 내린 것은 형평과 비례의 원칙에 위반되어 위법하고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D협회는 2019년 2월 정기총회에서 1년 예산 14억 원 대비 17억 원에 달하는 협회비 미수금으로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음을 인식했습니다. 이에 2019년 4월 이사회를 개최하여 1년 이상 협회비를 장기 체납한 회원에 대한 제재를 검토하고, 원고들을 포함한 장기 체납 회원들에게 3차례에 걸쳐 체납 협회비 납부를 독촉했습니다. 그러나 원고들은 2019년 5월 기준으로 각 2년 6개월 이상 협회비를 계속 체납했습니다. D협회는 2019년 7월 이사회에서 원고들을 포함한 회원들의 모든 협회원 권리(의결권, 선거권 등)를 정지(상실)하는 결의를 하였고, 2020년 6월 3일 이사회에서 2020년 7월 31일까지 체납 협회비를 납부하지 않으면 협회원 자격을 완전히 상실시키고 재가입 시 체납금 완납 및 가입비 500만 원을 납부하도록 하는 내용의 최종 결의를 했습니다. 원고들은 이 결의가 협회 정관상 자격 상실의 근거가 될 수 없고, 운수사업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공제 가입이 제한되는 등 지나치게 가혹한 처분이라고 주장하며 이사회 결의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 협회의 정관에서 '협회원의 자격 제재'가 협회원 자격의 '자격 상실(제명)'을 포함하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원고들의 장기 협회비 체납을 이유로 한 피고 협회의 제명 처분이 협회 이익을 위해 불가피한 최종적인 수단이었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해당 제명 처분이 원고들이 입게 되는 불이익과 피고 협회가 얻는 이익을 비교했을 때 형평과 비례의 원칙에 위반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피고 D협회가 2020년 6월 3일 개최한 이사회에서 원고들의 협회원 자격을 상실시킨 결의가 무효임을 확인했습니다. 따라서 소송의 모든 비용은 피고 협회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협회가 장기간 협회비를 미납한 원고들의 협회원 자격을 완전히 상실시킨 이사회 결의가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비록 원고들이 협회비를 장기간 체납한 사실이 인정되지만, 협회가 회비 확보를 위한 다른 덜 불리한 수단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가장 가혹한 제명 처분을 내렸고, 이로 인해 원고들이 사업을 영위할 수 없게 되는 등 지나치게 큰 불이익을 입게 되는 점을 고려할 때 형평과 비례의 원칙에 위반된다고 본 것입니다. 이 판결은 사단법인이 회원에게 제명과 같은 중대한 제재를 가할 때는 정관의 명확한 근거와 적절한 절차, 그리고 제재의 수위가 위반의 정도와 회원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들이 적용되었습니다.
협회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협회비를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