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금전문제
이 사건은 지역주택조합 조합원 자격을 상실한 원고들이 피고 D주택조합을 상대로 2차 중도금, 브릿지대출 원금, 브릿지대출 이자 납부액의 반환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2차 중도금과 브릿지대출 원금 반환 의무 자체는 인정했지만, 조합 규약상 '사업비 부족으로 인한 반환시기 제한 규정'에 따라 아직 반환 의무의 이행기가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해당 청구는 기각했습니다. 반면, 브릿지대출 이자 납부액에 대해서는 조합이 이자를 책임지겠다고 공언하고 나중에 조합원들에게 대신 납부를 요청하며 상환을 약정한 사실이 인정되어, 원고 A에게 2,600,046원, 원고 C에게 2,618,198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또한, 장래 이행을 구하는 예비적 청구는 청구 내용이 명확하게 특정되지 않아 각하되었습니다.
원고들은 D주택조합과 조합가입계약을 맺고 아파트 분양을 위해 분담금을 납부했습니다. 그러나 원고 A은 2023년 2월 22일, 원고 B, C은 2023년 3월 6일에 각각 세대주 지위를 상실하여 조합 규약에 따라 조합원 자격을 잃게 되었습니다. 이에 원고들은 피고 조합에 납부했던 2차 중도금과 브릿지대출 원금, 그리고 브릿지대출 이자 납부액의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피고 조합은 조합 규약에 명시된 '사업비 부족 시 분담금 반환 시기 제한 규정'을 근거로 즉시 반환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고, 대출 원금의 성격 및 이자 상환 약정의 유무도 다투어졌습니다.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원 자격을 상실한 경우, 조합이 조합원에게 납부받은 2차 중도금과 브릿지대출 원금을 즉시 반환해야 하는지 여부, 브릿지대출 이자 납부액을 조합이 조합원에게 상환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그리고 장래 이행을 구하는 청구의 내용이 명확하게 특정되었는지 여부가 주된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지역주택조합 탈퇴 조합원들이 납부한 분담금(2차 중도금, 브릿지대출 원금)의 반환 의무 자체는 인정했지만, 조합의 재정 상황과 규약에 따라 그 이행기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즉시 반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다만, 조합이 조합원들에게 브릿지대출 이자를 대신 납부해달라고 요청하고 추후 상환을 약정한 사실이 인정되어 원고 A와 C이 부담했던 이자 납부액에 대해서는 조합의 상환 의무를 인정하여 지급을 명했습니다. 이 판결은 지역주택조합 탈퇴 시 분담금 반환 시기 및 대출 이자 상환 약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