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금전문제
A 주식회사가 채무자 C에 대한 채권 7억 4,110만 원을 회수하고자 제3채무자인 B 주식회사를 상대로 추심금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A 주식회사의 채권자인 U가 A 주식회사의 C에 대한 채권 중 2억 6,204만 원을 압류하여 A 주식회사의 추심권한이 일부 상실되었습니다. 또한 C의 B 주식회사에 대한 자산양수도 대금 채권에 다수의 채권자들이 압류를 걸어 압류가 경합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법원은 A 주식회사의 추심권한이 상실된 2억 6,204만 원 청구 부분을 각하하고, B 주식회사는 A 주식회사에게 나머지 4억 7,906만 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되, 압류 경합 상황을 고려하여 법원에 공탁하는 방법으로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 주식회사는 채무자 C에 대한 채권(공정증서에 따른 채권 741,108,902원)을 회수하기 위해 제3채무자 B 주식회사가 C에게 지급해야 할 자산양수도 대금 채권에 대해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았습니다. A 주식회사는 B 주식회사에게 이 추심금을 요구했으나, B 주식회사는 여러 이유를 들어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B 주식회사는 A 주식회사의 채권자인 U가 A 주식회사의 C에 대한 채권 중 262,041,824원을 압류했으므로 A 주식회사의 추심권한이 상실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C의 B 주식회사에 대한 자산양수도 대금 채권에 대해서 다수의 채권자들이 압류를 걸어 압류가 경합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B 주식회사는 채권이 특정되지 않았거나 이행기가 도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며, 정산 절차 완료를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A 주식회사는 B 주식회사를 상대로 추심금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고 A 주식회사가 다른 채권자(U)에 의해 일부 채권에 대한 추심권한을 상실했는지 여부. 둘째, 피압류 채권인 C의 B 주식회사에 대한 자산양수도 대금 채권이 특정되었고 이행기가 도래했는지 여부. 셋째, 다수의 채권자들이 압류를 걸어 압류가 경합하는 상황에서 제3채무자 B 주식회사가 추심채권자 A 주식회사에게 직접 변제해야 하는지 아니면 법원에 공탁해야 하는지 여부. 넷째, 집행채권의 부존재나 소멸 주장을 제3채무자가 추심의 소에서 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은 제1심 판결을 변경하여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원고 A 주식회사는 당초 청구했던 금액인 7억 4,110만 원 중 일부를 다른 채권자(U)의 압류로 인해 추심할 수 없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4억 7,906만 원 및 지연손해금을 지급받게 되었습니다. 다만, 이 금액은 제3채무자인 B 주식회사가 법원에 공탁하는 방법으로 지급해야 하므로, B 주식회사는 이중 변제의 위험을 피하면서 채무를 이행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