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채무
원고 A가 피고 C에게 빌려준 돈과 미납된 계불입금의 상환을 요구하고, 피고 C의 어머니인 피고 B에게는 연대보증인으로서의 책임을 물은 사건입니다. 법원은 피고 C에게 차용금 35,680,000원과 미납 계불입금 17,760,000원을 합한 총 53,44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그러나 피고 B가 피고 C의 채무에 대해 연대보증을 했다는 원고의 주장은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기각되었습니다.
원고 A는 2000년경부터 피고 C에게 금전을 대여하고 계를 운영했습니다. 2015년 10월 18일, 원고와 피고 C은 대여금을 6,755만 원으로 정산하고 차용증을 작성했습니다. 이후 피고 C은 원고로부터 계금 21,870,000원을 지급받아 이를 공제하고, 2016년 3월 21일 남은 차용원금이 35,680,000원이라는 내용의 메모를 작성하여 원고에게 교부했습니다. 또한 피고 C은 2016년 11월 21일까지 납입해야 할 계불입금 17,760,000원을 미납한 상태였습니다. 원고 A는 피고 C이 채무를 이행하지 않자 소송을 제기했으며, 피고 C의 어머니인 피고 B가 연대보증을 했다고 주장하며 함께 채무 이행을 청구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 C이 원고 A에게 갚아야 할 차용금과 미납 계불입금의 정확한 액수는 얼마인지였습니다. 둘째, 피고 B가 피고 C의 채무에 대해 연대보증을 했다는 사실이 법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피고 C은 원고 A에게 대여금과 계불입금 명목의 총 53,440,000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인정되었습니다. 하지만 피고 B가 피고 C의 채무에 대해 연대보증을 했다는 주장은 증거 부족으로 인정되지 않아, 피고 B에게는 채무 이행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적용된 주요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금전 거래나 계 거래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