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형사사건 · 노동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아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을 위반한 사업주 A가 원심에서 벌금 500만 원을 선고받았습니다. 사업주 A는 형이 너무 무겁다며 항소했고 항소심 재판부는 사업주 A의 주장을 받아들여 원심판결을 파기했습니다. 재판 과정에서 사업주 A가 체불 퇴직금의 대부분을 지급하는 등 피해 회복에 노력한 점을 고려하여 벌금 500만 원에 2년간의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사업주로서 근로자들이 퇴직했음에도 불구하고 퇴직금을 법정 기한 내에 지급하지 않아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위반으로 형사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은 것에 대한 형사처벌의 적절성 여부 및 항소심에서의 양형 판단이 쟁점이 되었습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원심의 벌금 500만 원 형량이 무겁다고 판단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했습니다. 피고인 A에게 벌금 500만 원에 대한 2년간의 집행유예를 선고하고 이 판결이 확정된 후 2년간 집행유예가 실효 또는 취소되고 벌금을 납입하지 않을 경우 1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노역장에 유치하도록 명령했습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 A가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며 특히 항소심 과정에서 근로복지공단에 체당금 약 1,080만 원을 지급하고 근로자에게 1,700만 원을 지급하는 등 미지급 퇴직금 대부분을 변제한 점을 유리한 양형 요소로 적극적으로 고려했습니다. 이러한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원심의 형이 무겁다고 인정하고 집행유예를 선고하여 형을 감경했습니다.
이 사건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에게 지급되어야 하는 퇴직금과 관련된 법적 책임을 다루고 있습니다. 관련된 주요 법령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퇴직금은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이며 사업주는 근로자가 퇴직하면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 퇴직금을 미지급할 경우 사업주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위반으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연루될 경우 재판 과정이나 그 이전에라도 체불된 퇴직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거나 피해 회복을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형사처벌 수위를 결정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체불된 퇴직금은 근로복지공단의 체당금 제도를 통해 근로자가 일부 보전받을 수 있으므로 해당 제도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