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 증권
이 사건은 피고인 A, B, C가 D 주식회사의 주식 시세를 조종하고 E 주식회사의 자산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되어 항소심에서 형량이 일부 조정된 사건입니다. 피고인 A는 D와 E의 실질적 경영자로서 주식 시세조종 및 횡령 범행을 주도했고 피고인 C는 주식 시세조정에 가담하고 E 자산 횡령에 공모했습니다. 피고인 B는 A의 지시를 받아 M&A 실무를 담당하며 횡령 범행에 가담했습니다. 원심에서 유죄가 인정되었으나 피고인 A와 C는 양형 부당을 주장하여 항소심에서 일부 감형되었고 피고인 B의 항소는 기각되었습니다.
피고인 A는 D 주식회사의 경영권을 위임받아 유상증자를 실시한 후 투자자들에게 3개월 내 20% 수익 보장을 약속했습니다.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피고인 C 등에게 D 주식의 시세 조정을 부탁했습니다. 또한 D 발행의 약속어음으로 E 주식회사의 경영권을 인수했으나 D 주가 조작이 실패하여 자금난에 처하자, E 회사의 자산을 유용하여 D 어음을 결제하는 등의 횡령 범행을 저질렀습니다. 피고인 B는 A의 지시를 받아 E 회사 M&A 실무를 담당하며 이 과정에서 E 회사의 부동산 담보대출금 및 우선주 매각대금 횡령에 가담했습니다. 피고인 C는 D 주가 조작에 가담하고 E 회사 인수 과정에서 피고인 A와 공동 투자 약정을 맺었으며, E 회사 자산 유용에도 깊이 개입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피고인들의 각 범행 가담 정도 및 역할 인정 여부와 양형의 적정성입니다. 피고인 A는 실질적 경영자로서 범행을 주도했는지, 피고인 B는 하급 실무자로서 횡령에 가담했는지, 피고인 C는 시세조종과 횡령에 공모했는지에 대한 사실오인 여부가 다뤄졌습니다. 또한, 원심에서 선고된 형량이 각 피고인의 가담 정도, 범행으로 인한 이득, 피해 회복 노력 등을 고려했을 때 너무 무거운지에 대한 양형 부당 여부가 쟁점이었습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피고인 A와 C의 사실오인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양형 부당 주장은 일부 받아들여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 A와 C가 D 주식회사의 주식 시세를 조종하고 E 주식회사의 자산을 횡령한 혐의를 유죄로 인정했습니다. 다만, 개인적인 시세차익 목적이 아니었으며 시세조종으로 인한 시장 영향이 크지 않았고 횡령 과정에서 개인적인 이득이 없었으며 일부 피해 회복 노력이 있었던 점 등을 참작하여 피고인 A와 C에게는 원심보다 감경된 징역형을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B에 대해서는 범행 모의와 의사결정 참여 정도가 A, C 못지않게 중하다고 판단하여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 형량을 유지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 및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의 경영권을 인수하거나 투자 유치를 진행할 때 투명하고 합법적인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주식 시세조종과 같은 불법 행위는 자본시장 질서를 교란하고 투자자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절대 시도해서는 안 됩니다. 회사의 자산은 주주와 채권자에게 속한 것이므로 경영진이라 하더라도 개인적인 용도나 특정 회사의 채무 변제 목적으로 함부로 유용해서는 안 됩니다. 기업 인수합병(M&A) 과정에서는 대상 회사의 재정 상태를 철저히 확인하고 자금 조달 계획을 신중하게 수립해야 합니다. 무리한 자금 조달이나 약속은 결국 불법적인 자금 유용으로 이어질 위험이 큽니다. 공동으로 범행을 계획하거나 실행에 가담한 경우, 단순히 지시에 따랐거나 실무자였다는 이유만으로 책임을 면하기 어렵고 공동정범으로 판단되어 주도자와 유사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폭력이나 협박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범행에 가담했다고 주장하려면, 저항할 수 없을 정도의 폭력이나 생명, 신체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 있었다는 점을 명확히 증명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