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도/재물손괴
이 사건은 보이스피싱 관련 절도 혐의로 기소된 프랑스 국적의 피고인에게 원심에서 무죄가 선고되자 검사가 항소한 사건입니다. 검사는 디지털 증거(휴대전화 전자정보 출력물)의 증거능력을 인정해야 하고,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범행 가담을 미필적으로라도 인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항소심 법원은 디지털 증거 수집 과정에서 압수목록을 작성·교부하지 않은 절차상 하자가 적법절차를 실질적으로 침해했다고 판단하여 해당 증거의 증거능력을 부정했습니다. 또한,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범행에 가담한다는 고의성을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증명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의 무죄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프랑스 국적의 피고인 A는 가구업체 채용 연락을 받고 국내에 입국한 후,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지시에 따라 피해자들이 주거지 인근에 놓아둔 현금이 든 비닐봉투를 수거하는 일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고인의 휴대전화가 임의제출되어 디지털 증거 분석이 이루어졌고, 피고인은 보이스피싱 관련 절도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은 자신이 보이스피싱에 가담한다는 인식이 없었다고 주장했으며, 수사기관의 디지털 증거 압수 과정에서 압수목록 교부 등 적법절차가 지켜지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인의 휴대전화에서 압수된 전자정보(카카오톡 채팅 내역 등) 출력물이 적법한 절차를 거쳐 수집되지 않아 증거능력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특히 전자정보의 파일 명세가 특정된 압수목록을 작성하고 교부해야 하는 적법절차 원칙 준수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둘째, 피고인이 자신이 하는 일이 보이스피싱 범행에 가담하는 것임을 미필적으로라도 인식하고 용인했는지, 즉 범죄의 고의가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항소심 법원은 검사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의 무죄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수사기관이 피고인의 휴대전화에서 압수한 전자정보에 대해 파일 명세가 특정된 압수목록을 작성·교부하지 않은 절차상 하자가 적법절차 원칙을 실질적으로 침해하여 해당 전자정보 출력물의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범행에 가담한다는 고의를 가지고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이 증명되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피고인은 디지털 증거 수집 과정에서의 절차적 위법성 인정과 범죄 가담 고의에 대한 증거 부족으로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확정받았습니다. 이 판결은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한 수사기관의 엄격한 적법절차 준수 의무를 다시 한번 강조하며, 특히 전자정보 압수 시 상세 압수목록 교부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아울러 피고인의 범죄 고의 입증은 막연한 의심만으로는 부족하고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수 있는 확고한 증명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이 사건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비슷한 상황에 처한다면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