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금전문제 · 노동
A 주식회사는 벤처사업가 F에게 여러 용역 업무를 맡기고 F가 지정한 배우자 B의 계좌로 총 2,860만 원을 송금했습니다. 그러나 F는 정부지원금 관련 사기 등 여러 범죄로 징역 2년 및 벌금 300만 원의 유죄 판결을 받고 확정되었습니다. A 주식회사는 F의 배우자 B가 M이라는 상호로 사업자등록을 하고 실제로는 F가 그 명의를 빌려 사업을 운영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A 주식회사는 B에게 지급된 용역대금 1억 7,160만 원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제기하며, B가 단독 또는 공동으로 M을 운영했거나 설령 명의대여자라고 하더라도 상법상 명의대여자 책임 또는 민법상 사용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A 주식회사는 벤처사업가 F에게 여러 IT 관련 용역 업무를 맡기며 F가 지정한 그의 아내 B 명의 계좌로 용역비를 송금했습니다. 그러나 F는 약속된 업무를 이행하지 않고 정부지원사업 관련 사기 등 여러 사기 행위로 형사 처벌을 받았습니다. 이에 A 주식회사는 F의 아내인 피고 B가 남편에게 사업자 명의를 빌려주었기 때문에 실제 사업주로서 또는 명의대여자나 사용자로서 사기 행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이미 지급된 용역비의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 B가 사업체 M을 단독으로 또는 남편 F와 공동으로 운영한 실제 사업주로서 책임이 있는지 여부, 피고 B에게 상법 제24조에 따른 명의대여자 책임이 발생하는지 여부, 피고 B에게 민법 제756조 제1항에 따른 사용자 책임이 발생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원고 A 주식회사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첫째, 피고 B가 M을 직접 운영하거나 F와 공동으로 운영했다고 볼 수 없으며 F가 피고 B에게 명의를 대여받아 사업자등록을 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둘째, 원고의 대표이사가 F를 M의 직원이나 이사가 아닌 개인 사업자로 인식하고 있었고 피고 B를 실제 사업주로 오인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상법상 명의대여자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셋째, 피고 B가 남편 F를 지휘·감독할 지위에 있었다고 볼 증거가 없으므로 민법상 사용자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원고 A 주식회사의 피고 B에 대한 용역비 1억 7,160만 원 및 지연손해금 청구는 모두 기각되었으며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합니다.
상법 제24조 (명의대여자의 책임): 이 조항은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영업을 할 것을 허락한 자는 자기를 영업주로 오인하여 거래한 제3자에 대하여 그 타인과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다고 규정합니다. 즉 자신의 이름이나 상호를 다른 사람이 사업에 쓰도록 허락하여 제3자가 그 명의자를 실제 사업주로 오해하고 거래했다면 명의를 빌려준 사람도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이 조항은 거래 상대방이 명의대여 사실을 알았거나 알지 못한 데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본 사례에서 법원은 원고 대표이사가 명의를 빌려준 피고 B를 실제 사업주로 오인하지 않고 남편 F를 개인 사업자로 인식했으므로 피고 B에게 명의대여자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민법 제756조 제1항 (사용자의 배상책임): 이 조항은 타인을 사용하여 어느 사무에 종사하게 한 자는 피용자가 그 사무집행에 관하여 제3자에게 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명시합니다. 이는 고용주가 직원의 업무상 불법행위에 대해 책임지는 원칙입니다. 명의대여 관계에서는 명의를 빌려준 사람이 실제로 불법 행위를 저지른 사람을 지휘·감독할 지위에 있었는지 여부가 중요하게 고려됩니다. 본 사례에서 법원은 피고 B가 남편 F를 지휘·감독할 지위에 있었다고 볼 증거가 없었으므로 사용자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즉 단순히 부부 관계이거나 명의를 빌려주었다는 사실만으로 자동적으로 사용자 책임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업자 명의 대여의 위험성: 타인에게 자신의 명의를 빌려주어 사업자등록을 하게 할 경우 실제 사업자가 불법 행위를 저지를 때 명의를 빌려준 사람에게도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비록 이 사례에서는 명의대여자에게 책임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거래 상대방 확인의 중요성: 사업상 계약을 체결하거나 대금을 지급할 때는 실제 사업을 운영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명의자와 실제 운영자가 다른지 등을 명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단순히 계좌 명의만 보고 거래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사기 피해 시 증거 확보: 사기 피해를 당했을 경우 누구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기망당했는지 실제 계약 당사자가 누구였는지 등을 입증할 수 있는 명확한 증거(계약서 대화 기록 송금 내역 등)를 철저히 보관하고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법적 책임 범위 이해: 명의대여자 책임(상법 제24조)이나 사용자 책임(민법 제756조)이 모든 경우에 자동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거래 상대방이 명의대여 사실을 알았는지 명의자가 실제 지휘·감독 관계에 있었는지 등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책임 인정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