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타 금전문제
피고가 원고에게 주식 매도를 약속하며 계약금을 받았으나, 이후 다른 회사에 해당 주식을 이중으로 매도하여 계약 이행이 불가능해지자, 원고와 원고의 채권 압류 및 추심 명령을 받은 회사가 피고를 상대로 계약금 반환 및 지연손해금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피고의 이중매매로 인한 이행불능을 인정하고 계약을 해제하며, 채권 압류 및 추심 명령의 효력 시점에 따라 원고와 원고 승계참가인에게 각기 다른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원고 A는 2017년 12월 1일 피고 C와 주식회사 D의 주식 4,500주를 30억 원에 매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7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잔금 23억 원은 'E역세권 도시개발사업 환지예정지 지정 시'에 지급하기로 약정했습니다. 그러나 2019년 10월 22일 피고 C는 환지예정지 지정이 지연된다는 이유로 원고 A에게 잔금 미지급 시 계약을 해제하겠다는 내용증명을 보냈습니다. 이후 2022년 1월 25일 피고 C는 F 주식회사에 동일한 주식을 25억 원에 매도하는 계약을 이중으로 체결했습니다. 원고 A는 피고 C의 이중매매로 인해 주식인도의무가 이행불능이 되었다며 계약 해제를 통보하고 계약금 7억 원의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한편, 2024년 4월 3일 원고 A의 채권자인 주식회사 B는 피고 C에 대한 원고 A의 채권(7억 원 포함)에 대해 채권압류 및 추심 명령을 받아 2024년 4월 8일 피고 C에게 송달되었고, 이에 주식회사 B도 추심금 청구를 진행했습니다. 피고 C는 원고 A가 잔금 지급을 지체하여 계약이 해제되었고, 이로 인해 주식을 더 낮은 가격에 재매각하게 되어 5억 원의 손해가 발생했으므로 해당 금액을 상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맞섰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피고의 이중 주식 매매가 기존 주식 매매 계약의 이행불능 사유가 되는지 여부, 채권 압류 및 추심 명령이 발효되었을 때 원 채권자(원고 A)의 당사자 적격이 어디까지 상실되는지, 그리고 압류 효력이 발생하기 전과 후에 발생한 이자 및 지연손해금의 귀속 주체가 누구인지였습니다. 또한 피고가 원고의 잔금 지급 지체를 주장하며 제기한 상계 항변의 적절성도 판단 대상이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C의 이중 주식 매매로 인해 원고 A와의 주식 매매 계약이 이행불능 상태에 이르렀음을 인정하여 계약 해제를 받아들였습니다. 이에 따라 피고 C는 원고 A 및 원고 승계참가인 주식회사 B에게 계약금 7억 원과 그에 따른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채권 압류 및 추심 명령의 효력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원 채권자와 추심 채권자 간의 청구 권한 범위가 달라지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피고 C가 주장한 원고 A의 잔금 지급 지체 및 그에 따른 손해배상 상계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이와 유사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