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성범죄
피고인 A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반포등) 혐의로 기소되어 1심과 원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대법원은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하여 원심의 유죄 판단을 확정한 사건입니다.
피고인 A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카메라 등 이용 촬영 및 반포 등의 혐의로 기소되어 법정에서 유무죄를 다툰 상황입니다. 피고인은 하급심의 유죄 판결에 불복하여 상고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기각하여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피고인이 원심의 유죄 판단에 대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반포등)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했거나 심리 미진 자유심증주의 한계를 벗어났다는 주장을 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핵심 쟁점은 불법 촬영 혐의에 대한 유죄 인정의 적법성입니다.
대법원은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의 유죄 판결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이는 원심의 판단에 법리 오해나 심리 미진 등의 잘못이 없다고 본 것입니다.
피고인 A에 대한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반포등) 혐의에 대해 최종적으로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입니다. 특히 제14조(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는 카메라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로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타인의 신체를 촬영 대상자의 의사에 반하여 촬영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촬영물을 반포 판매 임대 제공하거나 공공연하게 전시 상영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며 영리 목적으로 촬영물을 유포하는 경우에는 더욱 가중된 처벌을 받습니다. 본 판결은 피고인이 주장하는 법리 오해나 심리 미진 등의 쟁점을 검토한 결과 원심의 유죄 판단이 관련 법리에 따라 적법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한 것입니다. 이는 카메라 등을 이용한 불법 촬영 행위에 대해 법원이 엄격한 해석과 처벌 기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 범죄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엄중하게 처벌됩니다. 대법원 판례는 불법 촬영에 대한 법원의 단호한 입장을 보여주며 증거가 충분히 확보되면 유죄 판결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단순한 호기심이나 실수로 인한 촬영이라 하더라도 법적 책임이 무겁게 부과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촬영 대상의 동의 없이 신체를 촬영하는 행위는 처벌 대상이며 촬영물을 유포하는 행위는 더욱 가중처벌됩니다. 이러한 범죄는 피해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피해를 입히므로 사회적으로도 용납되지 않는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