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류/처분/집행
원고인 소프트웨어 개발 및 콜센터 서비스 회사 A는 피고들(B, D, E, F, G)과 콜센터 관리 솔루션 'H' 서비스 이용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원고가 H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고 피고들은 3년간 최소 200계정을 사용하기로 하며, 최소 사용 기간을 충족하면 콜센터 장비 및 개발 인건비를 무상 지원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러나 피고들은 원고의 API 연동 개발 지연 등 주된 의무 불이행을 이유로 계약 해지를 통보했고, 원고는 피고들이 최소 사용 의무를 위반하고 이용대금을 미납했다며 총 6억 4천만 원에 달하는 미납 이용료, 위약금, 손해배상 등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API 연동 및 상담 APP 개발이 계약의 주된 급부라고 판단하며, 원고의 주된 의무 불이행을 인정하여 피고들이 계약을 해지한 것이 적법하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피고들에게 최소 사용 의무 약정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법상 연대 책임도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원고의 청구 대부분을 기각하고, 피고 D, E, F, G에게는 실제 사용된 미납 통신비 약 300만 원대만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원고인 주식회사 A는 콜센터 솔루션 'H'를 개발하여 피고들(주식회사 B, D, E, F, G)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계약을 각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원고가 H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고 피고들이 3년간 이 서비스를 사용하며, 피고들의 합산 월간 최소 이용 계정 수를 200계정으로 전제하여 콜센터 장비나 서비스 개발인력 인건비를 무상으로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했습니다. 그러나 피고 B는 2023년 2월 22일, 원고가 'H'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API 연동 개발'을 지연하고 장애 대응에 미흡하다는 점을 문제 삼아 2023년 3월 31일부로 H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겠다는 이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원고는 2023년 3월 3일 이에 대한 계약 해지를 수용하는 취지로 회신했습니다. 피고 B를 제외한 나머지 피고들 또한 2023년 4월과 5월에 걸쳐 자신들의 전산시스템 내재화를 이유로 계약 해지를 통보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2023년 6월부터 9월까지 피고들이 3년간 최소 200계정 사용 의무를 위반하고 이용료를 납부하지 않았다며 계약 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했습니다. 결국 원고는 2023년 10월 20일, 피고들의 계약 위반을 이유로 이 사건 각 이용계약을 해지한다는 내용증명을 보냈습니다. 이에 피고 D, E, F는 2023년 11월 2일, 오히려 원고가 계약 내용인 API 연동 의무 등을 불이행했으므로 자신들이 원고의 계약 불이행을 이유로 계약을 해지한다고 반박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피고들이 최소사용의무약정을 위반하고 이용대금을 미납했으며, 나아가 원고의 퇴사자와 공모하여 공동불법행위를 저질렀다며 총 6억 4천6백만 원이 넘는 약정금 및 손해배상금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콜센터 솔루션 서비스 계약에서 'API 연동 개발' 및 '상담 APP'이 핵심적인 주된 급부라고 판단했습니다. 원고가 이 주된 급부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으므로, 피고들이 계약을 해지한 것은 적법하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피고들에게 월 최소 사용 계정을 의무적으로 지켜야 하는 '최소사용의무약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가 청구한 대부분의 미납 이용료, 위약금, 이행이익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하고, 피고들에게는 실제로 사용한 서비스에 대한 미납 통신비(총 약 300만 원대)만을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 판결은 계약서 해석에 있어 당사자의 합리적 의사와 실제 이행 상황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복수 당사자 계약에서도 개별성을 인정하여 상법상 연대 책임이 무조건 적용되는 것은 아님을 보여줍니다.
이 사건에 적용된 주요 법령 및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계약 상황에 직면했을 때 참고할 수 있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