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비상계엄 사태 당시, 한동훈 전 대표와 민주당의 이재명 대표가 국회 본회의장에서 악수를 나누는 장면이 공개됐어요. 그런데 그 뒤로 한동훈 전 대표가 “민주당이 날 구했다”는 주장은 터무니없다는 입장을 내놨죠. '자기들이 내가 계엄 해제하러 가는 걸 막지 않았다고 구해줬다니 말도 안 된다'고 비판했답니다. 정치인 사이에서 벌어지는 말장난 아닌가 싶지만, 이 상황엔 흥미로운 법적·정치적 쟁점이 숨어 있어요.
한 전 대표는 자신이 목숨을 걸고 계엄 해제를 막았고 오히려 민주당 정치인들이 체포되는 걸 막은 게 맞다고 주장합니다. 만약 민주당이 본회의장 출입을 막아 계엄 해제를 방해했다면 중대한 범죄라고까지 말했어요. 중범죄라고 할 정도면 그게 어떤 법적 의미가 있을까요? 사실 법리적으로 ‘계엄 해제’는 의회의 결정과 대통령 승인이 복잡하게 얽힌 문제라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한 전 대표는 진짜 겁먹은 건 민주당의 이재명 대표였다고 꼬집었어요. 동료 의원들을 이끌고 먼저 행동한 자신과 달리 숲속에 숨었다는 비유, 정치권 소식통들 사이에선 꽤 화제랍니다. 이런 상황을 보면, 위기 상황에서 리더의 자세와 책임은 법적 책임뿐 아니라 정치적 도덕성 문제로도 연결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만약 야당만 계엄 해제를 표결했다면 군이 적극적으로 진압에 나섰을 가능성이 높다니, 이게 바로 정치·법률이 서로 얽힌 핫한 사례입니다. 대통령이 승인하지 않아도 국회의 표결 자체가 법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도 생각해볼만 해요. 결국, 정책이나 결정이 법과 권력 사이에서 얼마나 미묘한 줄타기를 하고 있는지 보여주죠.
정치인들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법적 의미와 향후 판결에 어떻게 영향을 줄지, 우리도 관심을 갖고 주시해 볼 만하지 않을까요? 이런 사건을 통해 법과 정치, 개인의 책임이 얼마나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조금씩 감 잡히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