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방법원 2023
해설 [1] 근저당권자는 근저당권에 기해 임의경매를 신청하였고 이후 소유자가 근저당권말소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의 부존재한다고 다툰 사례입니다. [2] 근저당권자인 피고는 근저당권 등기의 권리추정력과 근저당권 관련 약정서에 기한 피담보채권의 존재를 강력히 주장하였고 원고가 신청한 증인에 대한 객관적 반박과 관련 형사사건의 증거자료에 대한 문서송부촉탁으로 승소판결을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울산지방법원 2022
해설 [1] 아파트 매매계약과 관련하여 매수인이 지급한 계약금 및 위약금의 지급을 청구한 사례였습니다. [2] 매도인인 피고는 가계약금만 받은 상황이었고 피고는 주위적 주장으로 아파트 매매계약이 체결되지 않았다는 주장을 하였고 예비적 주장으로 가사 매매계약이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계약금 배액 상환의 위약금 지급약정을 한 사실이 없다고 하면서 매도인이 원고의 주장에 대한 반박과 증거 부족을 강조하였습니다. [3] 한편, 매도인이 매수인으로부터 지급받은 금원은 추가적인 지연이자의 발생 위험이 있어 재판 중간에 중간 조정절차를 통하여 쌍방 대리인 각서를 작성 후 반환하여 결국 판결문에서는 계약금 배액 상환의무가 있는지, 계약이 성립되었던 것인지가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부산지방법원동부지원 2020
인천지방법원 2023
해설 [1] 근저당권자는 근저당권에 기해 임의경매를 신청하였고 이후 소유자가 근저당권말소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의 부존재한다고 다툰 사례입니다. [2] 근저당권자인 피고는 근저당권 등기의 권리추정력과 근저당권 관련 약정서에 기한 피담보채권의 존재를 강력히 주장하였고 원고가 신청한 증인에 대한 객관적 반박과 관련 형사사건의 증거자료에 대한 문서송부촉탁으로 승소판결을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울산지방법원 2022
해설 [1] 아파트 매매계약과 관련하여 매수인이 지급한 계약금 및 위약금의 지급을 청구한 사례였습니다. [2] 매도인인 피고는 가계약금만 받은 상황이었고 피고는 주위적 주장으로 아파트 매매계약이 체결되지 않았다는 주장을 하였고 예비적 주장으로 가사 매매계약이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계약금 배액 상환의 위약금 지급약정을 한 사실이 없다고 하면서 매도인이 원고의 주장에 대한 반박과 증거 부족을 강조하였습니다. [3] 한편, 매도인이 매수인으로부터 지급받은 금원은 추가적인 지연이자의 발생 위험이 있어 재판 중간에 중간 조정절차를 통하여 쌍방 대리인 각서를 작성 후 반환하여 결국 판결문에서는 계약금 배액 상환의무가 있는지, 계약이 성립되었던 것인지가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부산지방법원동부지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