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개발
이 사건은 주식회사 A(원고, 하도급 업체)가 주식회사 B(피고, 원사업자)를 상대로 미지급된 하도급 공사대금 6억 원의 회생채권 확정을 요구한 사건입니다. 원고는 토목공사 계약 체결 후 설계 변경과 추가 공사가 발생하여 총 공사대금이 증액되었다고 주장하며 미지급 대금을 청구했습니다. 이에 피고는 원고의 공사 중단 및 채무 불이행으로 인해 협력업체 등에 대신 지급한 금액이 있으므로, 이를 상계하여 공사대금 채무가 없다고 맞섰습니다. 법원은 1차 설계 변경 및 일부 추가 공사대금의 증액을 인정했으나, 피고가 원고를 대신하여 지급한 부당이득금 채권을 인정하여 원고의 미지급 공사대금 채권과 상계함으로써, 결국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피고는 D 지역주택조합으로부터 신축공사를 발주받았고, 원고는 이 중 토목공사를 46억 7,900만 원에 하도급받아 2019년 9월 20일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공사 진행 중 2020년 6월, 원고의 장비대금 미지급으로 공사가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원고는 설계 변경 및 추가 공사비 문제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자 2020년 7월 1일 피고에게 공사 타절을 요청했습니다. 이에 피고는 원고에게 작업 재개를 요청하며 불이행 시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2020년 7월 16일, 원고는 1차 설계 변경 합의와 별도로 추가 공사비 12억 5,954만 4,336원(부가가치세 별도)이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지급을 요구했습니다. 이후 피고는 2020년 9월 3일 원고의 채권자들에 대한 채무를 대신 변제하고 있음을 이유로 공사계약을 해지하고, 대위변제한 채무를 상계하겠다는 내용증명을 보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추가 공사비 미지급으로 인한 공사 타절과 피고의 대위변제 주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이후 피고에 대한 회생 절차가 개시 및 종결되었고, 원고는 피고에 대한 회생 채권을 6억 원으로 확정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고와 피고 사이에 공사대금이 증액되는 1차 설계 변경 합의가 있었는지 여부. 둘째, 원고가 주장하는 2차 설계 변경 및 추가 공사에 대한 합의가 있었고 그에 따른 추가 공사비가 인정되는지 여부. 셋째, 원고가 공사 계약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여 미시공 부분이 얼마나 되는지. 넷째, 피고가 원고를 대신하여 협력업체 등에 지급한 돈이 원고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채권으로 인정되는지 여부. 마지막으로, 피고의 부당이득반환채권과 원고의 공사대금 채권을 상계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채권 압류의 효력 발생 시점과 상계 적상 시점의 관계입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첫째, 원고와 피고 사이에 총 공사비를 46억 7,900만 원에서 56억 9,000만 원으로 증액하는 1차 설계 변경 합의가 있었다고 인정했습니다. 둘째, 2차 설계 변경 합의는 없었으나, 원고가 추가 공사(배수지 공법, TD 옹벽 재시공 등)를 실제 수행한 사실이 인정되어 추가 공사비 13억 8,549만 8,769원을 인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 사건 공사계약의 총 공사비는 70억 7,549만 8,769원으로 증액되었습니다. 셋째, 미시공 부분은 8억 700만 원으로 보아, 원고가 완성한 공사의 총 대금은 62억 6,849만 8,769원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넷째, 원고가 피고로부터 48억 8,200만 원을 지급받았으므로, 미지급 공사대금은 13억 8,649만 8,769원입니다. 다섯째, 피고가 원고의 공사현장 관련 근로자, 외주업체, 장비업체 등 공사대금 채권자들에게 원고를 대신하여 총 15억 1,652만 542원을 지급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이는 원고가 법률상 원인 없이 채무를 면제받는 이익을 누린 것이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동액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채권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피고의 부당이득반환채권은 모두 이행기가 도래하여 상계적상에 있고, 이를 원고의 공사대금 채권과 상계한 결과 원고의 공사대금 채권 원금이 모두 소멸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법원은 원고의 미지급 공사대금 회생채권 확정 청구를 기각하고, 소송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는 피고가 원고를 대신하여 지급한 채무액이 원고의 미지급 공사대금을 초과하여 상계가 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 및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