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롯데그룹의 변신이 만만치 않습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비핵심 자산 매각이 올해는 희망퇴직 열풍으로 번지면서 한 마디로 ‘강력한 다이어트’에 돌입한 셈인데요. 원체 복잡한 대기업 구조가 구조조정과 맞물려 어떻게 변해가는지 관심을 가져볼 만합니다.
배경에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실적 악화가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내수 침체, 미국 관세 정책 등의 영향으로 비용 부담이 커진 건데요. 롯데쇼핑과 롯데웰푸드의 영업이익 감소 수치를 보면 왜 이들이 인력 감축과 자산 매각 카드를 꺼내 든 지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희망퇴직은 언뜻 자발적인 선택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회사의 인력 구조조정 수단입니다. 노동법상 정당한 절차와 충분한 설명, 그리고 불합리한 차별이 없어야 하는데요. 만약 회사가 압박성 제안이나 보상 조건을 부당하게 정한다면 이는 부당해고 논란으로 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희망퇴직 시 근속연수에 따른 차등 지급이나 연령 제한 등에서 부당한 기준 적용 여부에 대한 법원 판단도 종종 나옵니다. 결국 체계적인 법률 검토 없이는 직원들의 권리가 침해되기 쉽습니다.
기업이 자산을 팔 때 단순히 돈 버는 게 끝이 아닙니다. 관련 계약서 검토, 인수자와의 책임 범위, 그리고 특히 채권자 및 주주 보호 문제 등 여러 법률적 리스크를 꼼꼼히 관리해야 합니다. 롯데의 파키스탄 자회사 지분 매각 사례처럼 해외 거래가 더 복잡한 것은 말할 것도 없죠.
이번 롯데의 사례가 보여주는 바는 ‘대기업도 안심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사업 환경 변화가 급격할 때 기업들은 때로 상당한 비용과 인력 피해를 감수하며 체질 개선에 나서는데요.
이 과정에서 법률 문제를 잘 처리하지 않으면 ‘내부 갈등’뿐 아니라 ‘소송’으로도 이어집니다. 즉, 기업 경영진과 법률 전문가들의 신속하고 정확한 협력 없이는 성공적인 기업 구조조정은 요원한 일입니다.
여러분 주변에서 ‘희망퇴직’이나 ‘자산 매각’ 이야기가 나오면, 냉철한 법적 안목으로 접근하는 게 필요하겠습니다. 아무리 회사 사정이 어려워도 법이 직원 권리를 보호하는 방패임을 잊으면 안 되는 법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