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 여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추진하며 기업들 사이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어요. 자사주란 기업이 자기 주식을 사서 보유하는 걸 말하는데요, 이걸 완전히 없애버리면 회사 발행 주식 수가 줄어들고 주당 가치가 올라간다는 장점이 있죠. 그래서 투자자들은 좋아할 수 있어요.
하지만 여기서 함정이 있어요. 기업들이 그동안 자사주를 쥐고 있던 건 단순한 투자 목적만이 아니라 경영권 방어 수단이기도 했거든요. 적대적 M&A나 행동주의 펀드 같은 외부 공격에 맞서서 우호 세력에게 자사주를 넘겨 의결권을 확보하는 전략이었죠. 그런데 자사주를 무조건 소각한다면 이런 경영권 방어 맷집이 훅 가버립니다. 결국 외부 세력에 완전 무방비 상태가 될 수 있어요.
해외에선 이미 ‘포이즌 필’ 같은 독특한 방어 기법이 자리잡았어요. 포이즌 필은 기존 주주에게 싸게 주식을 살 기회를 줘서 공격 세력의 지분 비중을 희석시키는 방법이죠. 또 ‘차등의결권’으로 특정 주주에게 더 많은 의결권을 줘서 경영권을 보호하기도 해요. 하지만 우리 기업들은 이러한 방어 수단 도입이 더디고 공식적인 제도도 뒷받침되지 않아요.
이 와중에 자사주 소각만 강제된다면 경영권 방어 방법이 더 줄어드는 셈입니다. 여러 기업이 걱정하는 점도 바로 이것이에요. 행동주의 펀드 공격 사례가 이미 급증하고 있고 일반 투자자들도 경영 간섭에 적극적이니까요.
결국, 기업 입장에서는 그냥 자기 손발을 묶어놓고 공격 맞으라는 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사주 소각으로 주가지수와 기업 value UP은 기대하지만 경영권 안정 없는 효과는 반쪽짜리일 뿐이죠.
궁금한 건, 이게 정말 기업가치 올리는 지름길인지 아니면 ‘경영권 밥상’ 내주는 셈인지. 앞으로 어떤 ‘비장의 카드’가 등장할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여러분도 혹시 회사 지분 문제나 경영권 다툼에 휘말린다면 자사주와 방어 수단 현황을 꼭 체크해보세요. 그래야 투자자든 경영자든 내 지분을 지킬 수 있는 법칙을 알게 될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