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채무 · 계약금 · 부동산 매매/소유권 · 상속
이 사건은 원고들이 상속받은 토지를 피고가 무단으로 점유하고 컨테이너를 설치하자, 원고들이 토지 인도와 컨테이너 철거를 요구하며 시작되었습니다. 피고는 이에 반소로, 원고들의 아버지(망 E)에게 빌려준 돈과 컨테이너 시설 구입대금을 원고들이 상속인으로서 갚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피고가 토지를 무단 점유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컨테이너 철거 및 토지 인도를 명령했고, 피고의 금전 채무 주장(대여금 및 물품대금)은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모두 기각했습니다. 소송 비용은 본소와 반소를 합쳐 피고가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이 분쟁은 망 E가 2018년 11월에 경남 고성군의 토지(826㎡) 소유권 등기를 마친 후, 피고 C가 이 토지 전체를 밭으로 경작하고 그중 22㎡ 위에 컨테이너 시설을 소유하며 점유해 온 상황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2020년 9월 망 E가 사망하자, 그의 자녀인 원고 A와 B가 이 토지를 상속받게 되었습니다. 원고들은 상속받은 자신들의 토지를 피고가 무단으로 점유하고 컨테이너를 설치해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토지 인도와 컨테이너 철거를 요구했습니다. 이에 피고는 자신이 망 E에게 3,000만 원을 빌려주었고, 컨테이너 시설 구입대금으로 1,540만 원을 부담했으므로, 망 E의 상속인인 원고들이 자신에게 해당 금액을 갚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맞섰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가 원고들 소유의 토지를 적법한 권리 없이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와, 그 토지 위의 컨테이너 시설을 철거하고 토지를 인도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둘째, 피고가 사망한 E에게 금전을 대여하거나 컨테이너 시설 관련 채무를 부담하게 했음을 입증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만약 입증된다면, E의 상속인인 원고들이 그 채무를 변제할 의무가 있는지도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원고들이 상속받은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하여, 피고에게 컨테이너 시설을 철거하고 토지를 반환하도록 명령했습니다. 반면, 피고가 망인에게 돈을 빌려주거나 컨테이너 관련 채무가 발생했음을 증명하지 못했으므로, 피고의 반소 청구는 기각되었습니다. 이는 토지 소유권자의 권리를 강하게 보호하고, 금전 채무를 주장하는 자는 그 채무의 존재를 명확히 입증해야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한 판결입니다.
이 사건은 다음과 같은 법률과 원칙에 따라 판단되었습니다.
유사한 상황에 대비하여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