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
근로자 A는 2019년 12월 5일, 피고 B가 운영하는 'D'에서 일하며 피고 C의 하도급을 받아 피고 C의 작업장에서 피고 C 소유의 프레스 기계를 조작하던 중 왼손 손가락이 압착되어 심각한 상해를 입었습니다. 사고는 프레스 기계에 안전장치가 미비했고, A가 작동 스위치를 오인하여 작업한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A는 사용자 B와 기계 소유주이자 하도급 발주자인 C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와 C 모두에게 안전 의무 위반 책임을 인정했지만, A의 부주의도 참작하여 피고들의 책임을 65%로 제한했습니다. 최종적으로 법원은 피고들이 공동으로 원고에게 68,067,891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는 2019년 12월 5일 오후 6시 10분경, 피고 B가 운영하는 전자부품 제조업체 'D'에 입사하여 피고 C로부터 하도급받은 자동차 부품을 제작하고 있었습니다. 작업은 피고 C의 사업장 내에 설치된 피고 C 소유의 프레스 기계를 사용하여 진행되었습니다. 이 사건 프레스 기계의 작동 주기 설정 스위치는 '연속작동'과 '1회용 단작업' 중간에 놓여 있었는데, 원고는 이를 '1회용 단작업' 상태로 오인한 채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연속 작동하던 프레스 기계에 왼손 손가락이 압착되어 좌측 2수지 원위지 절단, 좌측 3, 4수지 중위지 절단의 심각한 상해를 입었습니다. 이 사고는 프레스 기계에 덮개, 양수조작식 안전장치 또는 감응식 안전장치 등 필요한 방호 조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던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 B(사용자)의 근로자 안전배려 의무 위반 여부. 둘째, 피고 C(하도급 사업의 발주자이자 기계 소유주)의 산업안전보건법상 도급인의 안전조치 의무 위반 여부. 셋째, 원고 A의 과실 여부 및 피고들의 책임 제한 범위. 넷째, 산업재해보상보험급여(휴업급여 및 장해급여)가 손해배상액에서 공제되는 방식 및 그 범위입니다.
법원은 피고 B과 피고 C가 공동으로 원고에게 68,067,891원 및 이에 대하여 2019년 12월 5일부터 2023년 8월 22일까지는 연 5%의,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이 사용자로서 근로자 보호의무를, 피고 C는 도급인으로서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조치 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원고 A 또한 프레스 기계 조작 시 작동 방식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부주의가 인정되어 피고들의 책임은 65%로 제한되었습니다. 원고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되었고, 소송비용은 원고가 15%, 피고들이 85%를 각 부담하도록 결정되었습니다.
법원은 프레스 기계 작업 중 발생한 근로자의 손가락 절단 상해 사고에 대해 사용자 및 도급인 모두에게 안전 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하면서도, 근로자 본인의 과실을 참작하여 피고들의 책임을 제한하고 손해배상액을 산정하여 지급을 명령했습니다. 이는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 의무와 근로자 자신의 안전 관리 의무가 동시에 중요함을 보여주는 판결입니다.
이 사건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가 적용되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 기계 작업 중 사고를 예방하려면, 작업 전 반드시 기계의 작동 방식, 안전장치의 설치 및 작동 여부, 스위치 위치 등을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작동 방식 설정 스위치는 정확한 위치에 놓고 작업해야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사고 경위, 부상 정도, 현장 사진, 목격자 진술 등 증거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는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산업재해보상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와 별개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만약 사고의 원인이 사용자의 안전배려 의무 위반이나 도급인의 안전조치 의무 위반에 있다면, 이들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근로자 본인의 과실 여부도 손해배상액 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입니다. 하도급 관계에 있는 사업장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원청(도급인)도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조치 의무를 부담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관련 법률을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