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형사사건 · 의료
의사 A는 제약회사 직원으로부터 의약품 처방을 조건으로 400만 원의 현금을 받았다는 혐의로 의료법 위반 기소되었습니다. 원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피고인이 항소했고 항소심 과정에서 검찰이 공소사실의 시기와 방법을 변경하는 공소장 변경을 신청하여 인용되었습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변경된 공소사실에 대해 증인의 진술이 구체적이지 않고 일관되지 않으며, 이를 뒷받침할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공소사실이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피고인 A는 제주시에서 'C' 사무실을 운영하는 의사로서, 2011년 10월경부터 2012년 6월경까지 의약품 공급업체인 주식회사 D 영업부 소속 직원 E으로부터 D사에서 출시하는 'F 캡슐'을 처방해 주는 대가로 총 400만 원의 현금을 여러 차례에 걸쳐 받았다는 혐의를 받았습니다. 검찰은 피고인이 의약품의 채택이나 처방 유도를 목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제공받아 의료법을 위반했다고 보고 기소했고, 원심에서는 유죄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피고인은 사실오인과 법리오해를 이유로 항소했고, 항소심에서 검찰은 현금 지급 시기 및 방법 등을 변경하는 공소장 변경 신청을 하여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항소심은 변경된 공소사실을 바탕으로 심리를 다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피고인 A가 의약품 공급업체 직원 E으로부터 특정 의약품 처방 대가로 현금 400만 원을 지급받았다는 공소사실이 합리적인 의심 없이 증명되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특히 증인 E의 진술의 신빙성, 구체적인 현금 지급 시기 및 방법,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객관적인 증거의 존재 여부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며 이 판결의 요지를 공시합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검찰이 변경한 공소사실에 대해서도 증인 진술의 신빙성과 객관적 증거의 부족을 이유로 범죄의 증명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는 형사 재판에서 유죄를 선고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의심을 넘어설 정도의 증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을 따른 것입니다.
의료법 위반(리베이트 금지): 의료법은 의료인이 의약품 공급업자로부터 의약품의 채택, 처방 유도를 목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제공받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사의 공정한 진료를 방해하고 의료 윤리를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며, 위반 시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형사소송법 제325조 후단 (증거불충분 무죄): 형사소송법은 피고인에 대한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는 때에는 무죄를 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라는 형사법의 대원칙을 반영한 것으로, 검사가 제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유죄라고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 없이 확신할 수 없을 때 법원은 무죄를 선고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증인의 진술이 불명확하고 객관적 증거가 부족하여 이 원칙에 따라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64조 제2항 (원심판결 파기): 항소법원은 항소이유가 타당하다고 인정될 때 원심판결을 파기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항소심에서 검사의 공소장 변경이 허가되어 심판 대상이 변경되었고, 이에 따라 원심판결이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고 판단되어 파기되었습니다. 형법 제58조 제2항 (무죄판결의 공시): 법원은 무죄 판결을 선고하는 경우 피고인의 명예회복을 위해 피고인의 신청 또는 직권으로 무죄 판결의 요지를 공시할 수 있습니다. 이 판결에서도 피고인의 무죄를 선고하면서 그 요지를 공시하도록 명령했습니다.
형사사건에서 공소사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증인의 진술뿐만 아니라, 그 진술을 뒷받침할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증거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금전이 오가는 상황이라면 금융 거래 내역, 문서, 메모 등 물적 증거의 유무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증인의 진술이 시기, 금액, 방법 등 핵심적인 내용에 대해 일관성이 없거나 추측에 기반한다면, 법원은 그 진술의 신빙성을 낮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과거 유사한 사건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경우, 새로운 혐의와 과거의 사건이 법적으로 하나의 범죄(포괄일죄)에 해당하는지 또는 공소시효가 완성되었는지 여부 등 법률적 쟁점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공소장이 변경되는 경우,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변경된 내용과 관련된 사실관계를 다시 한번 철저히 확인하고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jpg&w=256&q=100)
서울중앙지방법원 2022
광주고등법원전주 2021
대구지방법원 2023
수원지방법원평택지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