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약금
원고는 피고와 토지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및 중도금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피고가 특약사항인 건축 허가를 위한 도로 소유권 이전 서류를 제때 준비하지 못하여 계약이 해제되었습니다. 이후 양 당사자는 미이행 시 위약벌 지급과 매매대금 반환을 약정하는 합의서를 작성했으나, 피고가 이마저도 불이행하자 원고가 매매대금 반환 및 위약벌을 청구한 사안입니다. 법원은 피고의 계약 및 합의 불이행을 인정하여 원고에게 총 5억 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원고 A는 2021년 1월 21일과 8월 24일, 피고 B와 총 9억 5천만 원에 인천 강화군에 있는 토지 3필지를 매매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2021년 1월 21일부터 5월 14일까지 계약금 1억 원과 중도금 3억 원을 포함하여 총 4억 원을 피고에게 지급했습니다. 계약 특약사항에는 건축을 위해 필요한 '강화군 F 도로'(이 사건 도로)에 대한 상속 등기 및 소유권 이전을 잔금일인 2021년 11월 15일까지 완료하기로 약정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피고는 잔금일이 지난 2022년 2월 15일까지도 이 사건 도로에 대한 상속 등기는 물론 건축 허가를 위한 토지 사용 승낙서조차 준비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원고는 2022년 2월 15일, 피고에게 잔금 지급 준비를 마쳤으니 2022년 2월 24일까지 도로 상속 등기 서류 완비 및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이행(교부)하라는 내용증명으로 이행 최고를 했습니다. 하지만 피고와 중개사는 이 이행 최고에 대해 아무런 답변이나 이행을 하지 않았고, 원고는 2022년 3월 2일, 피고의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매매계약 해제를 통보하고 지급한 4억 원의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이후 2022년 3월 20일, 원고와 피고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최종 합의서를 작성했습니다. 합의서에는 피고가 2022년 4월 11일까지 소유권 이전 서류를 준비하고 근저당권을 설정해 주지 않거나, 2022년 7월 11일까지 토지 및 도로에 대한 소유권 이전 서류를 준비하지 못할 경우, 위약벌 지급 및 매매대금 반환 의무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그러나 피고는 2022년 4월 11일경 원고의 전화를 받지 않고 서류를 마련하지 않았으며 약속한 근저당권 설정도 해주지 않았습니다. 원고는 지속적으로 이행을 요구했으나, 2022년 12월 21일 중개사를 통해 피고가 합의서 이행 의사가 없으며 도로 문제로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이에 원고는 2022년 12월 29일 내용증명을 통해 최종적으로 매매계약 해제와 위약벌, 매매대금 반환을 다시 요구했고, 결국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매매 계약 해제의 정당성 여부, 이후 작성된 합의서상 위약벌 약정의 유효성 및 공서양속 위반 여부, 그리고 손해배상 예정액이 부당하게 과다하여 감액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에게 원고에게 5억 원을 지급하고, 그중 5천만 원에 대해서는 2023년 3월 17일부터, 4억 5천만 원에 대해서는 2022년 4월 12일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지연이자를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며, 위 금액 지급 의무는 가집행할 수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법원은 피고가 매매계약에서 정한 토지 및 도로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 서류 준비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계약이 해제되었음을 인정했습니다. 더 나아가, 이후 작성된 합의서에서 피고가 약속한 소유권 이전 서류 준비 및 근저당권 설정 의무, 그리고 2022년 7월 11일까지 서류를 준비하지 못할 경우 매매대금을 포함한 4억 5천만 원을 반환하기로 한 의무 모두를 불이행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위약벌 4억 5천만 원 약정이 공서양속에 반하여 무효라는 피고의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이는 계약 체결 경위, 피고의 의무 불이행 후 원고의 요구로 합의서가 작성된 점, 피고의 의무 부담이 과도하다고 보기 어려운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입니다. 손해배상 예정액 5천만 원이 부당하게 과다하다는 주장도, 계약 해제 경위, 피고의 채무 불이행 태도, 원고의 지출 비용, 그리고 계약금 1억 원을 손해배상 기준으로 정했던 당초 약정 등을 감안할 때 과다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아 기각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가 청구한 위약벌 5천만 원(4억 5천만 원 중 일부 청구)과 매매대금 등 4억 5천만 원을 합한 총 5억 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피고가 지급해야 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이번 판결에서 주로 적용된 법령과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계약과 관련하여 유사한 문제 상황에 직면할 경우 다음 사항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