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
굴삭기 전도 사고 후 보험금을 청구하는 과정에서 굴삭기 기사의 고용 관계를 사실과 다르게 기재하여 보험사기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법원은 피고인들이 고용 관계를 허위로 조작하려는 고의가 있었다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한 사건입니다.
2022년 4월 27일, 경기도 여주 신축 공사 현장에서 'C 주식회사'가 'F'으로부터 임차한 굴삭기가 작업을 하던 중 전도되어 정차 중이던 콘크리트믹서 트럭을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F'은 영업배상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었기에, 피고인들은 이 보험을 통해 트럭 수리비 등 약 6,316만 원의 보험금을 청구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검찰은 실제로는 'C 주식회사' 소속으로 일하던 굴삭기 기사 G을 'F' 소속인 것처럼 속여 보험금을 편취하려 했다고 보고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미수) 혐의로 피고인들을 기소했습니다. 피해자 보험회사는 이를 수상히 여겨 보험금 지급을 거절했습니다.
굴삭기 전도 사고 발생 후, 피고인들이 굴삭기 기사 G의 소속을 'C 주식회사'가 아닌 'F'인 것처럼 허위로 꾸며 보험금을 편취하려 했는지 여부 즉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미수)죄의 고의성 증명 여부입니다.
피고인 A과 피고인 B 모두 무죄.
재판부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들이 굴삭기 기사 G을 'C 주식회사' 소속 근로자로 인식하면서도 'F' 소속 근로자인 것처럼 속여 보험금을 청구하려는 고의가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고용 관계의 법적 해석에 대한 오해나 보험 처리를 위한 사후적인 서류 정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 사건은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미수)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해당 법은 보험금을 부당하게 편취하려는 행위를 처벌합니다. 보험 사기가 성립하려면 보험금을 받을 목적의 허위 사실 고지나 기망 행위, 그리고 그로 인해 보험회사가 착오를 일으켜 보험금을 지급하게 하려는 고의가 있어야 합니다. 본 사건에서는 피고인들이 굴삭기 기사의 고용 관계를 허위로 조작하려는 '고의'가 명확히 증명되지 않아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 이는 형사소송법 제325조 후단에 따라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는 때'에 해당하여 무죄를 선고하는 원칙에 따른 것입니다. 또한, 형법 제58조 제2항은 무죄 선고 시 판결 요지 등을 공시할 수 있다고 규정하지만, 본 사건에서는 판결 공시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에는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의 계약 관계 및 고용 관계를 명확하게 기록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중장비 임대 시에는 장비 조종사의 소속과 임금 지급 방식에 대한 계약 내용을 서면으로 정확히 남겨야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보험 청구 시에는 사실관계를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기재해야 하며, 고용 관계와 같이 법적 해석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전에 명확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험회사나 수사기관에 진술할 때는 법률 전문가가 아닌 이상 법률적 용어를 사용하는 데 신중해야 하며, 자신의 진술이 어떤 법적 의미를 가지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증거 부족은 무죄를 선고받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으므로, 관련 서류나 증언 등 증거 자료를 잘 보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