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 · 강도/살인 · 노동
고속도로에서 트럭 운전사가 운전 중 타이어가 이탈하여 중앙분리대를 넘어 반대편 차로 차량과 충돌,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의 원인은 트럭 운전사가 타이어 교체 후 차량 점검을 소홀히 한 것과, 타이어 교체 작업을 담당한 정비업체 운영자가 너트를 제대로 조이지 않은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법원은 두 피고인 모두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및 치상 혐의를 인정하여 각각 벌금형과 금고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
2018년 7월 23일 오전 10시 55분경 평택시 서해안고속도로 서울방향 282km 지점에서 피고인 A가 운전하던 C 볼보6×2트랙터 화물차의 운전석 쪽 4축 타이어 1개가 주행 중 이탈했습니다. 이 이탈된 타이어는 중앙분리대를 넘어 반대편 서울방향 1차로를 진행 중이던 D 운전의 E 싼타페 자동차의 조수석 쪽 전면을 충돌했습니다. 이 사고로 싼타페 조수석에 타고 있던 피해자 F(여, 46세)는 그 자리에서 외상성 뇌손상으로 사망했습니다. 또한 싼타페 운전자 피해자 D(46세)는 약 2주간의 경추의 염좌 및 긴장 등의 상해를 입었으며, 뒷좌석에 타고 있던 피해자 I(여, 14세)는 약 8주간의 관골궁 골절 등의 상해를, 피해자 J(여, 12세)는 약 2주간의 경추의 염좌 및 긴장 등의 상해를 입었습니다. 사고 발생 불과 3일 전인 2018년 7월 20일 피고인 B가 운영하는 'H'라는 업체에서 피고인 A의 화물차 타이어 3개(운전석 쪽 3축 타이어 2개, 4축 타이어 1개)를 교체하는 작업이 있었습니다. 검찰 조사 결과 피고인 B는 타이어 교체 당시 4축 휠과 타이어의 너트 10개를 완전히 밀착하게 조이지 않았고 타이어의 정상 부착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으며, 피고인 A 또한 타이어 교체 후 타이어 부착 상태 등 화물차의 기기, 장치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운전한 과실이 드러났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화물차 운전자인 피고인 A가 타이어 교체 후 차량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운전한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이 사고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입니다. 둘째, 타이어 교체 작업을 한 정비업체 운영자인 피고인 B가 타이어 너트를 완전히 조이지 않고 정상 부착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이 사고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입니다. 셋째, 두 피고인의 업무상 주의의무 위반이 피해자 F의 사망과 피해자 D, I, J의 상해에 대한 형사적 책임으로 이어지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벌금 400만 원을 선고하고 이 판결 확정일로부터 1년간 형의 집행을 유예했습니다. 피고인 B에게는 금고 6월을 선고하고 이 판결 확정일로부터 2년간 형의 집행을 유예했습니다.
본 판결은 운전자는 물론 차량 정비 작업을 수행하는 업체 또한 각자의 위치에서 철저한 안전 확인 의무를 다해야 하며 이를 소홀히 하여 사고가 발생하면 그 책임이 무겁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특히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경우 업무상 과실에 대한 형사적 처벌을 피하기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3조 제1항: 이 법 조항은 교통사고로 인해 사람이 다치거나 사망한 경우 운전자의 업무상 과실에 대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피고인 A는 화물차 운전사로서 운전 전 타이어 부착 상태 등 차량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할 업무상 주의의무를 소홀히 하여 사고를 유발했습니다. 운전자는 안전 운전을 위해 차량 상태를 점검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위반하여 타인의 생명이나 신체에 해를 입히면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형법 제268조(업무상과실·중과실치사상): 이 조항은 업무상 과실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해 사람을 사망이나 상해에 이르게 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피고인 B는 자동차 타이어 교체 업무에 종사하는 전문가로서, 타이어 너트를 완전히 조이고 작업 후 정상 부착 여부를 확인해야 할 업무상 주의의무를 위반했습니다. 피고인 B의 과실로 인해 타이어가 이탈하여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므로, 이 조항에 따라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형법 제40조(상상적 경합) 및 제50조(형): 피고인 B의 경우, 타이어를 제대로 조이지 않은 1회의 행위로 여러 피해자(사망 1명, 상해 3명)에게 동시에 죄를 범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1개의 행위가 여러 개의 죄에 해당하는 것을 '상상적 경합'이라고 하며, 이때는 가장 중한 죄에 정해진 형으로 처벌하게 됩니다. 따라서 피해자 F의 사망으로 인한 업무상과실치사죄의 형을 기준으로 처벌이 결정되었습니다. 형법 제62조 제1항(집행유예): 법원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형을 선고할 경우, 피고인의 나이, 성행, 환경, 범행 후의 정황(합의 여부, 반성 여부 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형의 집행을 유예할 수 있습니다. 피고인 A와 B 모두 이 조항에 따라 실형 대신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는데, 이는 법원이 피고인들의 반성 태도, 피해자와의 합의 등을 유리한 양형 조건으로 참작하여 내린 결정입니다.
유사한 사고를 예방하거나 처리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차량 운전자: 차량 정비 특히 타이어 교체와 같은 안전과 직결되는 작업 후에는 반드시 타이어의 볼트나 너트 체결 상태, 공기압 등 주요 부품이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육안으로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운전 중 차량에 이상 징후(진동, 소음 등)가 느껴지면 즉시 안전한 곳에 정차하여 점검해야 합니다. 자신의 차량에 대한 최소한의 점검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정비업자: 자동차 타이어 교체나 수리와 같은 정비 업무를 수행할 때는 매뉴얼에 따라 정확한 방법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특히 너트를 조일 때는 규정 토크를 준수하여 완전하게 밀착시켜야 하며 작업 완료 후에는 최종적으로 타이어의 정상 부착 여부를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항상 인지하고 철저한 주의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공동 책임: 본 사례와 같이 여러 당사자의 과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고가 발생할 경우, 각자의 과실 비율에 따라 형사적 책임과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운전자와 정비업자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안전 확인 의무를 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해 발생 시: 교통사고로 인명 피해나 상해를 입은 경우, 가해자의 업무상 과실에 대해 형사적 고소를 통해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민사소송을 통해 치료비, 위자료, 일실수익 등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