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 노동
이 사건은 은행 직원인 원고 A씨가 동료 D씨로부터 성폭행을 당했다고 신고한 후, 본인이 오히려 직장 내 성희롱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은행으로부터 두 차례 징계를 받은 것에 대해 무효를 주장하고 미지급 급여를 청구한 사건입니다. 은행은 A씨와 D씨의 새벽 호텔 동숙 사건에 대해 '은행 질서 문란 및 명예 훼손'을 이유로 A씨에게 견책 처분을 내렸고, 이후 D씨가 A씨를 성희롱으로 신고한 사건에 대해서는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이유로 A씨에게 정직 1개월 처분을 내렸습니다. 법원은 이 두 징계 처분이 모두 정당하다고 판단하여 A씨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고 소송 비용을 A씨가 부담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은 크게 두 가지 징계 사유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1. 견책 처분(2016년 12월 23일) 관련: 2016년 5월 11일 새벽, 원고 A씨는 동료 직원 D씨와 함께 호텔에 투숙했습니다. A씨는 이후 D씨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은행에 신고했고, 은행은 성희롱 소위원회 및 심의위원회를 통해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조사 결과, 두 사람이 호텔에 투숙한 사실은 인정되었으나 성폭행 여부는 불분명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A씨는 D씨를 준강간 혐의로 형사 고소했으나, 서울남부지방검찰청은 2016년 9월 19일 '원고의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 상태를 인정할 증거가 부족하고, 달리 피의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D씨에 대해 불기소 결정을 내렸습니다. 검찰 수사 결과 확정 후 은행의 성희롱 심의위원회는 이 사건이 직장 내 성희롱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은행은 이 사건이 '은행 내외부로 알려져 중대한 물의를 일으키고 은행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2016년 12월 23일 A씨와 D씨 모두에게 '직원 상호 간 예절 준수 의무 및 품위 유지 의무 위반'으로 견책 처분을 내렸습니다.
2. 정직 1개월 처분(2019년 2월 15일) 관련: 2018년 8월 9일, D씨는 은행에 원고 A씨로부터 성희롱을 당했다는 내용으로 신고했습니다. D씨의 신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2016년 3월 15일 팀 회식에서 A씨가 D씨와 동료 직원들을 끌어안고 추행했다. ② 2016년 5월 10일 회식에서도 A씨가 동료 직원들에게 신체 접촉을 시도하여 성희롱을 했다. ③ A씨가 'D씨가 A씨를 성폭행했다'고 말하고 다녀 성적 굴욕감을 느꼈다. 은행은 외부 법무법인에 조사를 위탁했고, 조사 결과 A씨의 회식 자리에서의 신체 접촉 행위가 성희롱으로 볼 수 있다는 보고서를 제출받았습니다. 은행은 2019년 2월 15일 성희롱·성폭력 고충심의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바탕으로, A씨의 위와 같은 행위가 '다른 동료들의 성적 수치심을 유발시키는 직장 내 성희롱'에 해당하며, 은행의 취업규칙, 상벌규정, 임직원 행동강령 등을 위반했다고 판단하여 A씨에게 정직 1개월의 징계 처분을 내렸습니다. A씨는 이에 불복하여 재심을 청구했지만, 은행은 징계 처분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고 A와 D의 호텔 동숙 사건에 대한 은행의 '견책' 징계 처분이 절차적 또는 실체적으로 정당한지 여부입니다. 특히 은행이 성관계 합의 여부를 징계 사유로 삼았는지, 그리고 징계 절차가 적법하게 진행되었는지가 다투어졌습니다. 둘째, 원고 A가 동료 직원 D, I, J에게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하여 성희롱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받은 '정직 1개월' 징계 처분이 정당한지 여부입니다. 마지막으로, 위 정직 처분이 무효임을 전제로 한 A씨의 미지급 임금 청구가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은 원고 A씨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즉, B은행이 A씨에게 내린 2016년 12월 23일자 견책 처분과 2019년 2월 15일자 정직 1개월 처분은 모두 정당하며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A씨가 청구한 1,946,000원의 미지급 임금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 청구 또한 기각되었습니다. 소송 비용은 원고 A씨가 모두 부담하도록 결정되었습니다.
법원은 B은행이 원고 A씨에게 내린 두 가지 징계 처분(견책, 정직)이 모두 적법하고 정당하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A씨가 주장한 징계의 절차적 하자나 실체적 부당함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법원은 A씨와 D씨의 호텔 동숙 행위가 은행의 '질서 문란 및 명예 훼손'에 해당하며, A씨의 동료 직원들에 대한 '부적절한 신체 접촉' 또한 직장 내 성희롱에 해당하여 징계 사유가 충분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은행의 징계 재량권 행사가 남용되지 않았다고 보아 A씨의 청구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주요 법령과 법리적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사한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참고할 만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