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 · 의료
환자가 치과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다음 날 의식을 잃고 쓰러진 후 약 3주 뒤 사망한 사건입니다. 망인의 배우자인 원고는 치과의사 피고 B이 시술 전 설명의무를 위반하고, 마취제를 과다 투여했으며, 부적절하게 6개의 임플란트를 한꺼번에 식립하여 대량 출혈을 유발하는 등 의료상 과실로 망인이 사망에 이르렀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또한 원고는 치과 원장인 피고 C에게도 사용자로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의료비 7백만 원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피고 B에게 원고가 주장하는 설명의무 위반, 마취제 과다 투여, 부적절한 임플란트 시술 등의 의료 과실이 인정되지 않고, 망인의 사망과 시술 사이의 인과관계도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망인 D은 2016년 3월 21일 오후 3시 30분경 피고 B이 근무하는 치과에서 마취 후 치아 6개를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시술을 받았습니다. 시술 후 망인은 특별한 이상 증상 없이 귀가했습니다. 다음 날인 2016년 3월 22일 오전 7시 10분경, 망인의 배우자인 원고 A는 집 거실에서 얼굴에 피가 말라붙은 채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망인을 발견했습니다. 망인은 병원으로 이송되어 우측 대뇌 외상성 경막하 출혈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았으나 의식을 회복하지 못했고, 약 3주 후인 2016년 4월 9일 경막하 출혈로 인한 악성뇌부종으로 사망했습니다. 원고는 망인의 사망이 피고 B의 의료상 과실(설명의무 위반, 마취제 과다 투여, 부적절한 임플란트 시술로 인한 대량 출혈 등)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피고 B과 그의 사용자 피고 C에게 총 248,897,441원 및 지연손해금, 그리고 피고 C에게는 추가로 부당이득 7,000,000원 및 지연손해금을 청구하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치과의사 피고 B이 임플란트 시술 전 망인에게 시술 내용, 위험성, 마취 부작용, 시술 후 예상되는 출혈과 고통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의무를 위반했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피고 B이 시술 과정에서 마취제를 과도하게 투여하여 망인에게 어지러움증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했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피고 B이 이례적으로 6개에 달하는 임플란트를 한꺼번에 식립하여 망인에게 대량 출혈을 발생시켰고, 이로 인해 망인이 흡인성 폐렴을 겪고 쓰러져 외상성 경막하 출혈로 사망에 이르게 되었는지 여부입니다. 넷째, 위와 같은 피고 B의 의료 과실이 망인의 사망에 대한 직접적인 원인, 즉 인과관계가 인정되는지 여부입니다. 다섯째, 만약 피고 B의 불법행위가 인정된다면, 피고 C에게 피고 B의 사용자로서 연대하여 손해를 배상할 책임(사용자 책임)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여섯째, 피고 C가 망인에게 청구한 의료비 7백만 원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소송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법원은 원고가 주장하는 치과의사의 설명의무 위반, 마취제 과다 투여, 부적절한 임플란트 시술로 인한 출혈 발생 등의 의료상 과실이 모두 입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망인이 시술 후 별다른 증상 없이 귀가했고, 마취제 투여 후 15시간이 경과한 뒤 쓰러졌으며, 마취제의 반감기를 고려할 때 마취제 부작용으로 쓰러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한 번에 식립할 수 있는 임플란트 개수에 대한 의료상 지침이 없으며, 대량 출혈이 발생했다고 볼 증거도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적으로 피고 B의 불법행위 책임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이를 전제로 한 피고 C의 사용자 책임 및 부당이득 반환 청구도 모두 이유 없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최종적으로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주로 다루어진 법률 및 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내용):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조항입니다. 의료 분쟁에서는 의료진의 행위가 '과실'에 해당하는지, 즉 의료인이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아 위법한 행위를 했는지가 핵심 쟁점입니다. 또한 이러한 과실이 환자에게 발생한 손해(이 사건에서는 사망)의 '원인'이 되었는지, 즉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도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 B의 시술 행위에 원고가 주장하는 과실이 없다고 판단하여 이 조항에 따른 피고 B의 불법행위 책임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민법 제756조 (사용자의 배상책임): '타인을 사용하여 어느 사무에 종사하게 한 자는 피용자가 그 사무집행에 관하여 제삼자에게 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조항입니다. 이는 고용 관계에서 피용인(직원)이 업무를 수행하다가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사용자(고용주)도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고 C가 피고 B의 사용자였기 때문에, 만약 피고 B의 의료 과실이 인정되어 민법 제750조에 따른 불법행위 책임이 발생했다면, 피고 C에게도 이 조항에 따라 손해배상 책임이 부과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법원이 피고 B의 불법행위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으므로, 피고 C에 대한 사용자 책임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의료 분쟁은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므로 단순히 시술 후 나쁜 결과가 발생했다고 해서 의료 과실이 바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사한 상황에 처했을 때는 다음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철저한 의료 기록 확보: 시술 전 동의서, 진료 기록, 시술 과정 기록, 마취 기록, 퇴원 기록 등 모든 의료 기록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기록은 의료진의 설명 내용, 투약량, 시술 방법 등이 적절했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의료 과실 입증의 어려움: 의료 과실을 주장하려면 의료 행위에 과실이 있었고, 그 과실이 환자의 손해(사망, 상해 등)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마취제 투여량이나 임플란트 시술 개수가 부적절했다고 볼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으며, 사망 원인과 시술 사이의 시간 간격 등도 고려했습니다.
전문가 감정의 중요성: 법원에서는 의료 전문가에게 진료 기록 감정을 촉탁하여 해당 의료 행위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독립적인 의료 기관의 감정 결과는 재판의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되므로, 전문가 감정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가 소송의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설명의무의 범위: 의료진은 환자에게 시술의 내용, 예상되는 결과, 발생 가능한 부작용 및 합병증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환자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이러한 설명이 충실히 이루어졌는지는 분쟁 발생 시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습니다. 환자나 보호자 입장에서는 설명을 들을 때 궁금한 점은 반드시 질문하고, 중요한 내용은 다시 확인하여 충분히 이해했음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