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류/처분/집행 · 강도/살인 · 노동
서울 성동구의 한 초등학교 신축공사 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60대 근로자가 추락하여 4개월 후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검찰은 공사를 시공한 C 주식회사의 사업주 A와 현장소장 B가 안전난간 대신 충분한 강도가 없는 3줄 로프만을 설치하는 등 업무상 주의의무를 소홀히 하여 근로자를 사망에 이르게 했다며 업무상과실치사 및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사고 발생 지점에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었다는 다수의 증언과 검찰이 제출한 증거들의 신빙성 부족 등을 이유로 피고인들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유족들의 배상 신청을 각하했습니다.
피고인들이 시공하는 서울 성동구 I초등학교의 'J교육센터' 신축공사 현장에서 근로자 K이 3층 또는 4층에서 자재정리 작업 중 추락하여 외상성 뇌손상 등으로 약 4개월 후 사망했습니다. 검찰은 공사현장에 추락 위험이 있는 곳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안전난간을 설치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3줄 로프만을 설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소홀히 한 과실이 있다고 보고, 시공사 사업주, 현장소장, 그리고 시공 법인을 업무상과실치사 및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여 재판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피고인들이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안전난간 등 방호 조치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아 근로자 사망이라는 결과가 발생했는지, 그리고 피고인들의 업무상 과실과 근로자의 사망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피고인 A, B, C 주식회사 모두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배상신청인들의 배상신청을 각하했습니다.
재판부는 검찰이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인들이 사고 발생 지점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않은 3줄 로프만을 설치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당시 현장에서 함께 일했던 다른 근로자들이 사고 지점에 철제 또는 파이프로 된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일관되게 진술한 점, 검찰이 제출한 사고 현장 사진들이 사고 후 시간이 많이 지난 시점에 촬영되었거나 사고 지점이 아닌 다른 곳의 모습이라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피고인들에게 유죄를 인정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 사건은 주로 다음과 같은 법령과 법리에 따라 판단되었습니다.
공사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
울산지방법원 2023
전주지방법원군산지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