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금 · 행정
이 사건은 고인(망인)이 특정 법인의 채무를 면제해 준 행위로 인해 발생한 증여세 부과 처분에 대하여, 고인의 상속인들이 세금 부과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취소를 구한 소송입니다. 피고인 김포세무서장은 고인의 채무 면제 행위가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 의제'에 해당하여 증여세 920,668,390원(가산세 포함)을 부과했습니다. 원고들은 실제 증여 이익이 발생하지 않았고, 고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가산세 부과는 위법하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원고들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피고의 증여세 부과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특정 법인의 채무를 면제함으로써 해당 법인의 재무구조가 개선되고 고인(주주)의 실질적인 주식 가치가 증가한 경우, 실제적인 증여 이익이 직접적으로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증세법) 제45조의5 제1항의 '증여 의제' 규정을 적용하여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이 적법한지 여부입니다. 둘째, 고인이 채무 면제 행위 후 약 한 달 만에 갑작스럽게 사망한 경우, 증여세 신고·납부 의무를 이행할 수 없었던 '정당한 사유'가 있었다고 보아 가산세 부과를 취소해야 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원고들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피고인 김포세무서장이 원고들에게 부과한 920,668,390원(가산세 포함)의 증여세 부과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항소에 소요된 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원고들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