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 사기 · 기타 형사사건
이 사건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정부 보조금 사업에서, 참여 시공기업인 C 주식회사의 대표 A와 기술이사 B이 무자격업체가 실제 시공했음에도 C이 직접 시공한 것처럼 허위 서류를 제출하여 보조금을 편취하고 부당하게 교부받았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검찰은 C 주식회사가 주택소유자와 계약만 체결하고 실제 시공은 보조금 신청 자격이 없는 다른 업체들에게 일괄 하도급했으므로, 피고인들이 한국에너지공단에 허위 신청을 통해 보조금을 편취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제출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인들이 보조금의 예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허위 신청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받았거나, 사기죄의 '기망행위'를 통해 보조금을 편취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피고인 전원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법원은 C 주식회사가 보조금 교부 대상이 아닌 사업에 보조금을 받거나 초과하여 받은 증거가 없고, 한국에너지공단이 하도급을 금지하지 않다가 직영관리 의무까지 삭제한 점, C 주식회사가 자재 구매, 하도급 관리, A/S, 현장 확인 등 시공에 실질적으로 관여한 점 등을 고려했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주택에 설비를 설치할 경우 국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주택지원사업'을 추진했습니다. 이 사업에는 한국에너지공단이 선정한 '참여시공기업'만이 참여하여 주택소유자와 계약을 맺고 시공한 후 보조금을 신청할 자격이 있었습니다. 피고인 C 주식회사는 참여시공기업이었고, 피고인 A는 대표이사, B는 사업 총괄 책임자였습니다. 검찰은 C 주식회사가 실제로는 보조금 신청 자격이 없거나 제한적인 J 주식회사, K 주식회사 등 무자격 또는 하수급 업체들이 실제 시공했음에도, C 주식회사가 직접 시공한 것처럼 허위의 계약서 등 관련 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함으로써 한국에너지공단을 속이고 총 10억 원이 넘는 보조금을 부당하게 받았다고 보고 피고인들을 기소했습니다. 피고인들은 C 주식회사가 주택소유자와 계약을 체결하고, 하도급 업체들을 통해 시공을 완료했으며, 당시 한국에너지공단의 규정상 하도급이 금지되지 않았으므로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편취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다투었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고인들이 한국에너지공단에 허위 서류를 제출하여 보조금을 '거짓 신청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교부받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 및 '보조금관리에관한법률위반'을 저질렀는지 여부입니다. 둘째, C 주식회사가 실제 시공을 하도급 업체에 맡겼음에도 이를 '명의 대여'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보조금 부정 수령으로 이어지는지 여부입니다. 셋째, 피고인들의 행위가 사기죄의 '기망행위'에 해당하며, 한국에너지공단의 보조금 지급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는 인과관계가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피고인 A, B, C 주식회사에 대한 공소사실 전부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고, 이 판결의 요지를 공시한다고 명령했습니다.
법원은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피고인들의 유죄를 합리적 의심 없이 증명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구 보조금의 예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의 교부를 받은 경우'는 보조금의 교부 대상이 아닌 사업에 받거나 교부되어야 할 금액을 초과하여 받은 경우를 의미하는데, C 주식회사가 그러한 방식으로 보조금을 받았다고 볼 증거가 없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한국에너지공단이 과거에는 하도급을 금지하다가 2010년부터는 허용하고 나중에는 직영관리 의무까지 삭제했으므로, 하도급 시공 자체를 부정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C 주식회사가 자재 구매, 하도급 관리, A/S 제공, 현장 확인 등 공사에 실질적으로 관여했으며, 주택소유자들도 C 주식회사를 시공자로 인지했으므로, 명의 대여로 보기도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보조금 지급이 기망에 의한 착오로 이루어졌다는 인과관계가 없거나, 피고인들이 보조금을 받을 자격이 있었고 정당한 금액을 받았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 사건 판결은 주로 '보조금의 예산 및 관리에 관한 법률(구법)' 위반과 '사기죄', 그리고 '건설산업기본법상 명의 대여'에 대한 법리를 적용했습니다.
정부 보조금 사업에 참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점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