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류/처분/집행
피고인 A는 2022년 3월 말부터 4월 중순까지 보이스피싱 조직의 '현금수거책'으로 활동했습니다. 그는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의 지시에 따라 총 8명의 피해자들로부터 1억 7천1백만원을 포함하여, 여러 피해자로부터 총 2억 2천만원 상당의 현금을 직접 수거했습니다. 수거한 돈 중 자신의 수당을 제외한 나머지를 조직이 텔레그램으로 알려준 타인 명의의 주민등록번호와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172회에 걸쳐 무통장 송금하는 방식으로 범죄수익을 은닉하고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부정 사용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은 자신이 보이스피싱 범행에 가담한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구직 과정의 비정상성, 돈 수거 방식의 불법성, 업무 난이도에 비해 이례적으로 높은 보수 등을 근거로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범행의 일부임을 미필적으로나마 인식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피고인에게는 징역 2년이 선고되었고, 피해자의 배상명령신청은 배상책임 범위가 명백하지 않다는 이유로 각하되었습니다.
피고인 A는 2022년 3월 말경 정체를 알 수 없는 보이스피싱 조직원들로부터 '현금수거책' 역할을 제안받고 이를 수락하여 범행에 가담했습니다. 조직원들은 피해자들에게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하며 '저금리 대환 대출을 위한 보증금',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어 확인이 필요하다'는 등의 거짓말로 현금을 요구했고, 피고인은 이들의 지시에 따라 여러 피해자들을 직접 만나 현금 700만원, 1천만원, 4천2백만원 등 총 2억 2천만원 상당의 돈을 수거했습니다. 이후 피고인은 수거한 돈 중 자신의 수당을 제외한 나머지를 조직이 텔레그램으로 알려준 타인 명의의 주민등록번호와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무통장 송금했습니다. 이러한 행위로 인해 피고인은 사기, 범죄수익 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주민등록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피고인 A가 보이스피싱 범행의 '현금수거책'으로서 조직의 사기 범행에 공모하고 가담했는지 여부와 그 과정에서 범죄수익을 은닉하고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부정 사용했는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특히 피고인이 범행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지 못했다는 주장에 대해, 법원은 피고인에게 '미필적 고의'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보이스피싱 범행의 구체적인 내용을 전부 알지는 못했더라도, 다음과 같은 정황들을 종합하여 피고인 자신이 조직적인 보이스피싱 범행의 한 과정이라는 사실을 미필적으로나마 인식하고 가담했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인 A에게 징역 2년의 실형이 선고되었으며, 피해자의 배상명령신청은 각하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