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류/처분/집행
피고인 A는 네이버 카페 'C'를 운영하며 회원들에게 '상품권 액면가보다 10~30% 저렴하게 구입하여 비싸게 되팔아 차익을 얻게 해 주겠다'고 속였습니다. 피고인은 실제로는 저렴하게 상품권을 구입할 능력이 없었으며, 피해자들로부터 받은 돈은 유흥비 등으로 사용하거나 이른바 '돌려막기'를 하는 데 썼습니다. 결국 피고인은 2019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총 21명의 피해자로부터 약 60억 원 상당의 상품권 대금을 편취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에게 징역 5년을 선고했으며, 피해자들의 배상명령 신청은 배상책임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각하했습니다.
피고인 A는 네이버 카페를 통해 '상품권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 고수익을 주겠다'는 허위 광고를 했습니다. 이에 속은 피해자들은 피고인에게 상품권 대금 명목으로 거액의 돈을 송금했습니다. 그러나 피고인은 이 돈을 약속대로 사용하지 않고 개인적인 용도로 쓰거나 다른 피해자들에게 '돌려막기' 방식으로 지급하면서, 결국 피해자들에게 약속된 수익이나 상품권을 지급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피해자들이 사기 피해를 인지하고 고소했으며, 법원에 배상명령 신청을 했습니다.
피고인의 상품권 고수익 투자 약속이 사기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피고인이 편취한 정확한 금액과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청구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특히, 복잡한 금전 거래 내역과 피해자들의 '투자' 방식이 배상책임 범위 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법원은 피고인 A에게 징역 5년을 선고했습니다. 또한, 피해자들의 모든 배상명령 신청은 배상책임의 범위가 명백하지 않다는 이유로 각하했습니다.
피고인의 대규모 온라인 상품권 사기 행위는 유죄로 인정되어 징역 5년의 실형이 선고되었습니다. 다만, 피해자들의 배상명령 신청은 피고인과 피해자들 사이의 금전 거래가 복잡하고 책임 소재를 명확히 가리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각하되었으므로, 피해자들은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합니다.